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4-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rogram of physical activity on the body composition, fatigue, and physiological indexes amongst breast cancer survivo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llowing the principles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ne 30, 2014, to September 20, 2014. There were 13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and Cronbach's ⍺ with SPSS Statistics v.19.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score for body composi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partly supported. In particular, Fat (F=6.24, p=.020), and Waist hip ratio (F=15.83, p=.001) were support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mass index scores (F=2.38, p=.136).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immune fun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In term of the subsca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BC (F=1.47, p=.236), CD4 (F=2.01, p=.169), and NK cell (F=0.46, p=.502) values.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score for IGF-1 (F=4.82, p=.038), and IGFBP-3 (F=14.28, p=.001) in tumor growth-related factor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4.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score for fatigu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25.42, p=.028).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gram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ir health indexes.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4년 6월 30일부터 9월 2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 실험군은 13명, 대조군 15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19.0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가설검증은 ANCOVA,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신체조성의 수치가 낮아질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BMI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F=2.38, p=.136), 체지방량(F=6.24, p=.020), 복부지방률(F=15.83, 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1가설은 일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면역기능이 향상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WBC (F=1.47, p=.236), CD4 (F=2.01, p=.169), NK cell (F=0.46, p=.502)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3) 제 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종양관련성장인자의 수치가 낮아질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IGF-1 (F=4.82, p=.038), IGFBP-3 (F=14.28, p=.001) 수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피로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피로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5.42, p=.028).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기효능감 이론에 기반을 둔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은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지표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추후 체계적으로 암 생존자들에게 확대시켜 생존자들의 남은 삶의 질을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warded Date
2015-02
Degree
박사
Citation
박지연. (201412).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10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