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장애아동부모의 우울,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과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4-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family strength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One hundred forty-one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three out-patient clinics of rehabilitation hospitals in A city during the period of August and September, 2014.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Questionnaire on Resource and Stress (QR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Multidimensional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and the Korean Family Strengths Scale (KFSS-Ⅱ).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Version 18.0).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such: 1. The average score of degree of child's disability was 2.96 (0.60) on the 0-4 scale. 2.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was 20.18 (10.21) on the 0-80 scale. Levels of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ables such as sex (t=11.75, p=.001), age (F=3.03, p=.020), and monthly income (F=2.96, p=.035). 3. The average score of social supports was 3.11 (0.74) on the 0-4 scale. Scores of social support subscales were 3.34 (0.77) from family, 3.26 (0.91) friends, and 2.33 (1.11) health care provider, respectively. 4. The average score of family strength was 3.32 (0.70) on the 1-5 scale. Scores of family strength subscales were 3.47 (0.77) from family resilience, valuing each other & acceptance 3.71 (0.73), qualitative bonding 3.20 (0.87), economic stability & cooperation 3.17 (0.96), and caring about community and 2.63 (0.70). Family streng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monthly income (F=7.40, p<.001), the highest group was 4,000,001 won and over monthly. 5. Parents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s (r=-.40, p<.001) and family strength (r=-.38, p<.001). Social supports was correlated with family strength positively (r=.50, p<.001). In conclusion, both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s we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par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a child's dis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부모의 우울,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과의 관련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4년 8월부터 9월 까지 D시에 소재한 재활 병원 3곳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141명의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8월 부터 9월 30일 까지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부모의 자녀장애정도에 관한 인식은 QRS (The Questionnaire on Resource and stress), 우울은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사회적 지지는 MSPSS (Multidimensional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 가족건강성은 한국형가족건강성척도 Korea Family Strengths Scale Ⅱ (KFSS-Ⅱ)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자녀장애정도는 4점 척도로서 2.96(0.60)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에서는 우울은 0-80점 척도로서 전체 평균 점수는 20.18(10.21)점이며, 성별(t=11.75, p=.001), 나이(F=3.03, p=.020), 월수입(F=2.96, p=.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본 연구의 사회적 지지는 5점 척도로서 전체문항 평균 3.11(0.74)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의 지지 3.34(0.77)점, 친구의 지지 3.26(0.91)점, 의료인의 지지 2.33(1.11)점으로 나타났다. 4. 가족건강성은 5점 척도로서 전체문항 평균 3.32(0.70)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탄력성 3.47(0.77)점, 상호존중과 수용 3.71(0.73)점, 질적 유대감 3.20(0.87)점, 경제적 안정과 협력 3.17(0.96)점, 가족문화와 사회참여2.63(0.70)점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은 월수입(F=7.40, p<.001)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401만 원 이상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부모의 우울은 사회적 지지((r=-.40 p=<.001), 가족건강성과는 (r=-.38,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가족건강성(r=-.50,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의 건강성과 사회적 지지는 장애아동 부모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Alternative Title
Depression, Social Supports, and Family Strength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Awarded Date
2015-02
Degree
석사
Citation
금혜숙. (201412). 장애아동부모의 우울, 사회적 지지, 가족건강성과의 관련성.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14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