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내과 중환자실 환자 욕창 발생의 영양 관련 예측요인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3-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trition-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among patients admitt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Research subjects were 112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MICU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B city.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2, to November 2, 2013. Th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an investigator.
The research tool include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diet-related characteristics, nutritional status, and pressure ulcer status measurement. Diet-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ed diet type, prescribed Calories, provided Calories, and Calorie Supply Status. Nutrition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mini nutritional assessment tool. As for anthropometry investigation data, the body height, weight, basal metabolic rate, body mass index,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were measured. The biochemical indicators hemoglobin, hematocrit, total lymphocyte count, plasma protein, serum albumin, blood sugar, sodium, potassium,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were also evaluated. Also, the pressure ulcer status measurement tool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 ²-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utritional status of MICU patients at admission was poor (46.4% for nutrition risk group, 19.6% for malnutrition group).
2. Differences in nutritional status over time, the body mass index (F=19.13, p=< .001), triceps skinfold thickness (F=8.05, p=< .001), basal metabolic rate (F=21.14, p=.< .001), hemoglobin (F=17.64, p=< .001), hematocrit (F=21.82, p=< .001), serum protein (F=9.38, p=< .001), serum albumin (F=11.18, p=< .001) decreased over this time, the blood sugar (F=9.36, p=< .001) increased.
3. Difference in pressure ulcer status of the subjects: the prevalence of pressure ulcers at admission was 42 patients (37.5%), 5th day it was 54 patients (48.2%), and 10th day it was 58 patients (51.8%), showing that ulcer prevalence increased, with the sacrum as the most common pressure ulcer sites.
4. Presence of pressure ulcers at admission according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us are basal metabolic rate (t=-5.67, p=< .001), MNA-SF score (F=43.97, p=< .001), body mass index (t=-6.60, p=< .001), triceps skinfold thickness (t=-6.29, p=< .001), upper arm circumference (t=-3.92, p=< .001), hemoglobin (t=-2.18, p=.03), serum protein (t=-3.35, p=< .001), serum albumin (t=-6.96, p=< .001).
After 5th day and 10th day at admission has express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atocrit.
5. Impact factors for pressure ulcers that exist at admission, occur 5th day, or occur 10th day or at check out were MNA-SF score and serum albumin.
In conclusion, most of the ICU patient's nutritional statuses were po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SF), serum albumin were important variables. these results should be, utilized as fundamental consideration factors in the future to improve wound care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sure ulcer patients.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 상태와 욕창상태 및 욕창 발생의 예측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욕창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 일 대학병원의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112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8월 2일부터 11월 2일까지이다.
연구도구로는 조사자가 개발한 구조화 된 기록지로서 연구도구의 주요항목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식이 및 영양 상태 측정, 욕창 상태 측정 도구이다.
식이 관련특성 항목에는 식이유형, 처방 열량, 섭취 열랑, 열량공급현황이 포함된다.
영양 상태특성은 Rubenstein 등(2001)에 의해 개발되어 NNI (2009)에 의해 번역된 간이영양평가도구(MNA-SF)와 신체계측으로는 키, 체중, 기초대사량, 체질량지수, 삼두박근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하였고, 생화학적 지표로는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총 림프구수, 혈장단백질, 혈장알부민, 당, 나트륨, 칼륨,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치로 평가하였다. 욕창상태 측정 도구는 NPUAP (2009)에서 제시한 욕창 상태 사정도구를 김금순 등(2009)이 번역하여 쓰고 있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repeated measures ANOVA, χ²-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입실환자의 영양 상태에서 영양불량 위험군이 46.4%, 영양불량군은 19.6%로 나타나 입실시 영양상태가 불량하였다.
2. 시간경과에 따른 영양상태의 차이에서는 체질량지수(F=19.13, p=< .001), 삼두박근 피하지방두께(F=8.05, p=< .001), 기초대사량(F=21.14, p=.< .001), 헤모글로빈(F=17.64, p=< .001), 헤마토크릿(F=21.82, p=< .001), 혈장단백(F=9.38, p=< .001), 혈장 알부민(F=11.18, p=< .001)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당(F=9.36, p=< .001)은 증가 하였다.
3. 대상자의 욕창상태차이는 입실 시 욕창 유병률은 37.5%, 입실 5일째에는 48.2%, 입실 10일째 또는 퇴실시점에 욕창 유병률은 51.8%로 나타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욕창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욕창부위는 천골이 가장 많았다.
4. 입실시 욕창 유무에 따른 식이 특성 및 영양상태 특성 차이로 기초대사량(t=-5.67, p=< .001), MNA-SF score(F=43.97, p=< .001), 체질량지수(t=-6.60, p=< .001), 삼두박근 피하지방두께(t=-6.29, p=< .001), 상완둘레(t=-3.92, p=< .001), 헤모글로빈(t=-2.18, p=.03), 혈장단백(t=-3.35, p=< .001), 혈장알부민(t=-6.96, p=< .001)이 욕창발생군에서 현저하게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입실 5일째, 입실 10일째에도 입실 시와 같은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헤마토크릿이 추가적인 특성으로 입실 5일째(t=-2.97, p=< .001), 입실 10일째(t=-3.42, p=< .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입실 시, 입실 후 5일째, 입실 후 10일째 또는 퇴실시점에 욕창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MNA-SF score, 혈장 알부민이 중요 영향요인임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입원환자들의 대부분 영양상태가 불량하며, 이 중 욕창비발생군 보다 욕창발생군에서 영양상태가 현저하게 불량함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양 변수들 중 MNA-SF, 혈장 알부민이 욕창 발생에 있어 중요 영향변수로 나타난 결과는 추후 욕창환자의 효과적인 욕창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고려요인을 찾은 것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Nutrition-Related Predictors of Pressure Ulcer Development among Patients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warded Date
2014-02
Degree
석사
Citation
이하늬. (201312). 내과 중환자실 환자 욕창 발생의 영양 관련 예측요인.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32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