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3-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women who immigrate to Korea for marriag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s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August 9, 2013, to September 26, 2013. There were 15 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 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Cronbach's α with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U=-3.08, p=.002).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physical fitnes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In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righ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and low back flexibility (U=-3.37, p=.001).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score for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8.60) and the control group(7.63) after the experiment. (U=-0.95, p=.342).
4.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ocial health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U=-3.38 p=.001).
5. The fif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U=-2.17 p=.030).
6. The six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accultura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U=-0.62 p=.532).
7. The seven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self-efficac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U=-1.30, p=.195).
8. The eigh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score for perceived barri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U=-0.78, p=.434).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 physical fitness and social health,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strategy development that can sprea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needed.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8월 9일부터 9월 2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 실험군은 15명, 대조군 16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Mann Whitney U-test, 가설검증은 Mann Whitney U-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건강증진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138.46점으로 대조군의 118.68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U=-3.08, p=.002).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건강증진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어깨유연성 점수는 대조군과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U=-3.02, p=.003). 실험군의 왼쪽 어깨 유연성도 대조군과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U=-3.02, p=.003). 실험군의 허리 유연성도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U=-3.37, p=.001). 따라서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정신적 건강상태(GHQ) 점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건강증진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정신적 건강 점수는 8.60점, 대조군 7.63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U=-0.95, p=.342). 따라서 제 3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4) 제 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사회적 건강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건강증진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사회적 건강 점수는 44.47점으로 대조군의 43.31점으로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U=-3.38, p=.001).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제 5가설: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는 9.73점으로 3.33점이 높
아 졌으며, 대조군은 9.75점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U=-2.17, p=.030). 따라서 제 5가설은 지지되었다.
6) 제 6가설: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문화적응 점수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문화적응 점수는 36.13점, 대조군은 35.62점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U=-0.62, p=.532). 따라서 제 6가설은 기각되었다.
7) 제 7가설: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25.93점, 대조군은 23.06점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U=-1.30, p=.195). 따라서 제 7가설은 기각되었다.
8) 제 8가설: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지각된 장애성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지각된 장애성 점수는 19.80점, 대조군은 18.93점으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U=-0.78, p=.434). 따라서 제 8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신체적 건강, 사회적 건강,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적용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며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이라 사료되며, 확대,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Awarded Date
2014-02
Degree
박사
Citation
서인주. (201312).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36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