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병동 호스피스와 가정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 비교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2-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patient and home hospice patients. A total of 116 patients from 4 hospice in D city and P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anuary to April 2012. To measure spiritual well-be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1982) and revised Park Ji-seon (2005) was used. To measure quality of life,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o Hyeon (1993) and revised by Seon Jeong-ju (2003)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ANCOVA.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spiritual well-being of in-patient hospice patients was 3.13 and home hospice patients 3.2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ritual well-being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of quality of life in the in-patient hospice patients was 3.10 and the home hospice patients 3.2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two group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in-patient hospice patients according to religion (F=12.15, p<.001), educational background (F=3.57, p=.012), pain suffered during the last week (t=-2.60, p=.012), and use of traditional remedies (t=-2.57, p=.01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hospice patients according to religion (F=13.00, p<.001), membership of a religious organization (t=3.50, p=.001), educational background (F=4.59, p=.003), and occupation (t=2.69, p=.009).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patient hospice patients according to religion (F=3.20, p=.019), years of faith (F=5.57, p=.004), pain for the last week (t=-4.49, p<.001), degree of pain (F=3.43, p=.040), and use of traditional remedies (t=-2.57, p=.01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me hospice patients according to religion (F=3.79, p=.009), position at a religious organization (t=4.56, p<.001), educational background (F=3.90, p=.008), occupation (t=2.39, p=.020), pain for the last week (t=-2.24, p=.029), and economic status (F=5.18, p=.009).
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oth in the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r=.58, p<.001; r=.68, p<.001).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both in-patients and home hospice pati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to improve their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nd to support their economic status. Consideration for patients religious activities and previous occupation as well as striving to control their pain in appropriate ways are suggested as measures to meet hospice patients needs where they reside for hospice care.
본 연구는 병동 호스피스와 가정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비교조사연구이다. 2012년 1월 4월까지 D광역시와 P시에 소재한 4개 병원에서 병동 호스피스 환자와 가정 호스피스 환자 116명이 참석하였다. 영적안녕 측정을 위해 Paloutzian과 Ellison(1982)이 개발하고 박지선(200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 측정을 위해 조현(1993)이 개발하고 선정주(2003)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WIN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병동 호스피스 환자의 전체 영적안녕 정도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평점 3.13점, 가정 호스피스 환자는 3.28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영적안녕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동 호스피스 환자의 전반적 삶의 질은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평점 3.10점, 가정 호스피스 환자는 3.26점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병동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 정도는 종교(F=12.15, p<.001), 최종학력(F=3.57, p=.012), 지난 일주일간의 통증 유무(t=-2.60, p=.012), 민간요법 사용경험(t=-2.57, p=.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정 호스피스는 종교(F=13.00, p<.001), 종교기관 직분(t=3.50, p=.001), 최종학력(F=4.59, p=.003), 직업(t=2.69,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병동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은 종교(F=3.20, p=.019), 종교기간(F=5.57, p=.004), 지난 일주일간의 통증 유무(t=-4.49, p<.001), 통증정도(F=3.43, p=.040), 민간요법 사용경험(t=-2.57, p=.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정 호스피스는 종교(F=3.79, p=.009), 종교기관 직분(t=4.56, p<.001), 최종학력(F=3.90, p=.008), 직업(t=2.39, p=.020), 지난 일주일간의 통증 유무(t=-2.24, p=.029), 경제적 부담정도(F=5.18,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병동 호스피스 환자와 가정 호스피스 환자 모두 영적안녕과 삶의 질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8, p<.001; r=.68,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병동 및 가정 호스피스 환자 모두 영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간호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들이 호스피스간호 중에도 종교적 생활을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유지 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를 대상으로 가정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 정도와 삶의 질을 파악함으로서 병원 호스피스 환자의 그것과 비교하여 각각 대상자에게 적절한 영적 간호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Alternative Title
Comparing the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In-Patients and Home Hospice Patients
Awarded Date
2013-02
Degree
석사
Citation
김복희. (201212). 병동 호스피스와 가정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 비교.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46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