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영양부족 노인 입원환자를 위한 근거중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 개발 및 효과 검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2-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undernutrition management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uidelines' implications in relation to nursing practice. The guidelin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evidence-based guideline development and adaption procedures recommended by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 (SIGN, 2011).
Research design was based on a methodological design model, and it was used to develop the guidelines along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test the effects of the guidelines' implication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y 12, 2012 to October 9, 2012. 14 experts in geriatric nursing, geriatric medicine, and nutrition participated in the first draft evaluation of the developed guideline.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uidelines' implications, 21 nurses and 23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research at A geriatric hospital, in D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7 nurses and 22 elderly adults at B geriatric hospital, in G city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Kolmogorov-Smirnov normality test, χ2-test, t-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 with SPSS/ WIN 19.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guidelines developed consisted of a total of 68 recommendations: 15 for nursing assessment;, 48 for nursing intervention;, and 5 for nursing outcome measures in the area of nursing evaluation. The strength of the recommendations, ranging from A to D, was 4 for A, 6 for B, 4 for C, and 54 for D.
2. The results of guideline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practice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experience a higher degree of nurse’ recognition about undernutrition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Z=-1.996, p=.046).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nefit from improved nurse' performance in undernutrition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Z=-1.985, p=.047).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possess a higher level of nutritional status than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In terms of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lories (Z=-3.519, p<.001), carbohydrates (Z=-4.678, p<.001), and proteins (Z=-2.453, p=.014), but not in fat (Z=-1.386, p=.16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i Nutritional Assessment score (Z=-5.886,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albumin (z=-3.346, p=.001), White Blood Cells (Z=-2.156, p=.031), Total Lymphocytes Count (Z=-2.234, p=.025), Hemoglobin (Z=-4.011, p<.001), and Hematocrit (Z=-3.902, p<.001).
4)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Z=-4.190, p<.001).
3.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guideline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Facilitators included improvement of nurses’ assessment skills and coping skills, predictability of patients' health status, easy access to practice guidelines. Barriers included time restrictions due to a busy work environment, a shortage of human resources, a lack of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guidelines developed for undernutrition management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effectively improved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guidelines increased the levels of nurse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undernutrition management procedures.
본 연구는 영양부족 노인 입원환자를 위한 근거중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에 국외에서 개발된 영양 가이드라인을 국내 실정에 맞게 수용개작 과정과 SIGN (2011)의 가이드라인 개발과정을 통합하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위한 방법론적 연구와 개발된 가이드라인의 효과검증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2년 5월 12일부터 10월 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가이드라인 초안 평가를 위해 14명의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였고, 가이드라인의 실무적용과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 대상자는 D시와 G시 2개 노인요양병원 간호사 실험군 21명, 대조군 27명과 65세 이상 노인환자 실험군 23명, 대조군 22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정규성검정은 Kolmogorov-Smirnov검정,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2-test와 t-test, 가설검증은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총 68개의 권고로 간호사정을 위한 권고 15개, 간호중재를 위한 권고 48개, 간호평가를 위한 권고 5개로 구성하였다. 권고의 강도는 A 4개, B 6개, C 4개, D 54개 이었다.
2. 가이드라인 실무적용과 효과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영양부족 노인 환자 근거중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 간호사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호사보다 영양간호 인지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인지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1.996, p=.046).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영양부족 노인 환자 근거중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 교육에 참여한 실험군 간호사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호사보다 영양간호 수행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수행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1.985, p=.047). 따라서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영양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영양상태가 증진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식이섭취량 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열량(Z=-3.519, p<.001), 탄수화물(Z=-4.678, p<.001), 단백질(Z=-2.453, p=.014)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지방(Z=-1.386, p=.166)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생화학적 지표(혈청 알부민, 백혈구수, 총림프구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수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 알부민(Z=-3.346, p=.001), 백혈구수(Z=-2.156, p=.031), 총림프구수(Z=-2.234, p=.025), 헤모글로빈(Z=-4.011, p<.001), 헤마토크릿(Z=-3.902,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MNA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5.886, p<.001). 따라서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 “영양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4.190, p<.001). 따라서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3. 가이드라인 적용의 촉진요인과 장애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촉진요인은 간호사 자신의 사정능력과 대처능력 향상, 환자상태 예측 가능, 계속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의 존재 등이었다. 장애요인으로는 바쁜 업무환경으로 인한 시간부족, 간호인력 부족, 업무가 한꺼번에 몰릴 경우 우선순위의 업무가 아니므로, 영양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영양부족 노인 입원환자 근거중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은 간호사들의 인지도와 수행도를 높였고 대상자의 영양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영양부족 노인 입원환자 간호실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Undernutrition Management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Awarded Date
2013-02
Degree
박사
Citation
김은경. (201212). 영양부족 노인 입원환자를 위한 근거중심 영양간호 가이드라인 개발 및 효과 검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48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