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부인암 여성의 성건강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3-0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nd also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 needs assessment derived from an in-depth interview,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the predictive factors of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which I conducted as previous study. The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was comprehensively constructed reflect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exual health by Cleary, Hegarty, & McCarthy (2011), including sexual function, sexual self-concept and sexual relationship. This program consisted of information about sexuality, Kegel exercises, group art activities, psychodrama and group counseling.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who had completed their cancer treatment were recruited by telephon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in Korea. Subjects (n=30)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15) participated in the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2 hours, once a week fo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n=15) received a general educational program for gynecological cancer at 1, 3, and 6 weeks. Sexual function was measured by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sexual self-concept was measured by the Body Image Questionnaire and the Draw A Person (DAP) test, and sexual relationship was assessed by the Sexu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8.0. In addition, the outcome of the DAP test was analyzed by an expert in art psychotherapy.
Both post-test scores of total FSFI (p<.001) and all subscale scores including sexual desire (p<.001), arousal (p=.001), lubrication (p=.004), orgasm (p=.001), satisfaction (p=.001), and pain (p=.009)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body imag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9) and showed an improvement in body image on the DAP test after the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t-test scores in sexual communic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1).
In conclusion, a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xu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exual health intervention methods relevant to Korean culture. Finally, strategic development that can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bout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s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is highly recommended.
본 연구는 부인암 여성을 위한 성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부인암 여성을 위한 성건강 프로그램은 심층면담을 통해 부인암 여성의 성건강 요구도를 분석하고, 성기능 예측요인 분석 및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Cleary, Hegarty, & McCarthy (2011)의 성건강 개념을 바탕으로 성기능, 성적 자아개념, 성적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포괄적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성 관련 정보제공, 케겔 운동, 집단미술활동, 심리극, 집단상담 등이 포함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A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부인암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가 종료된 자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 15명씩 총 3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에게는 성건강 향상 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6주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부인암 관리에 대해 교육을 1주, 3주, 6주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전후에 성기능은 여성 성기능 지수, 성적 자아개념은 신체상 설문지와 인물화 검사, 성적 상호관계는 성 의사소통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Mann Whitney U-test, 가설검증은 Mann Whitney U-test와 Wilcoxon Signed Rank test,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미술심리치료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인물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건강 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여성 성기능 지수 총점(p<.001)과 6개의 하부영역인 성욕구(p<.001), 성흥분(p=.001), 질분비(p=.004), 절정감(p=.001), 성만족도(p=.001), 성교통(p=.009)의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신체상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9), 미술심리치료 전문가의 자문을 받은 인물화 분석결과에서도 신체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성 의사소통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부인암 여성의 성건강 향상 프로그램은 부인암 여성의 성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에 기여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성건강 중재를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부인암 여성들에게 확대, 보급할 수 있는 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xu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warded Date
2013-08
Degree
박사
Citation
장순양. (201306). 부인암 여성의 성건강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60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