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스토리텔링 간호중재가 혈액종양 환자의 자존감, 무력감, 희망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0-12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a storytelling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on self-esteem, powerlessness, and hope in hemato-oncology patient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 test quasi-experiment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 patients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eight patients of a control group among hemato-oncology pati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e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and translated by Choi(2000) was used to measure self-esteem, the scale developed by Miller(1992) and revised by Jo(1995) was used to measure powerlessness, and the scale developed by Nowotny(1989) and revised by Choi(1990) was used to measure hop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WIN 15.0 using Mann-Whitney U to test hypotheses, and Krskal-Wall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dependent variables by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storytelling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will show higher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not experiencing it, was supported(Mann-Whitney U=3.50, p=.001).
2.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storytelling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will show lower powerlessness than the control group not experiencing it, was supported(Mann-Whitney U=7.00, p=.007).
3.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storytelling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will show greater hope than the control group not experiencing it, was supported(Mann-Whitney U=6.00, p=.005).
These results showed the storytelling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elf-esteem, powerlessness, and hope in hemato-oncology patients. Based on this research, storytelling can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patients’ psychological problems.
본 연구는 혈액종양 환자를 위한 스토리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이 자존감, 무력감, 희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 소재 일 종합병원에서 정기적 외래 진료를 받는 혈액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실험군 8명과 대조군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는 Rosenberg(1965)의 도구를 최미례(2000)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무력감 도구는 Miller(1992)가 개발한 도구를 조무용(199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희망 도구는 Nowotny(1989)의 암 환자 희망 측정 도구를 최상순(1990)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와 Mann-Whitney U로 분석하였고, 시기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Krskal-Wall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스토리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실시한 실험군은 스토리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존감이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Mann-Whitney U=3.50, p=.001).
2. 제 2가설인 스토리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실시한 실험군은 스토리
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무력감이 낮을 것이
다 는 지지되었다(Mann-Whitney U=7.00, p=.007).
3. 제 3가설인 스토리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실시한 실험군은 스토리
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희망이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Mann-Whitney U=6.00, p=.005).
이상의 연구결과, 스토리텔링 간호중재 프로토콜은 혈액종양 환자의 자존감을 높여주고, 무력감은 감소시키며, 희망을 높이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은 환자들의 부정적 심리 개선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a storytelling nursing protocol on self-esteem, powerlessness, and hope in hemato-oncology patients
Awarded Date
2011-02
Degree
석사
Citation
이아름. (201012). 스토리텔링 간호중재가 혈액종양 환자의 자존감, 무력감, 희망에 미치는 효과.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007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