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여대생의 자궁경부암 지식,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및 접종실태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0-12
Abstract
This research was a descriptive study to determine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ation rat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in The Republic of South Korea.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HPV educational programs and to reduce the risk of HPV infec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Nine universities in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were selected using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 total of 777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ssess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and HPV, the author modified and used the cervical cancer knowledge tool developed by Kim & Park(2009) and HPV knowledge tool developed by kim & An(2007). To measure the level of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the modified questionnaires about HPV knowledge and attitude of woman, developed by Chi(2006),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The mean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was 13.75 (range of scores: 0∼23) (59.78 percentile).
2. The mean of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was perceived benefit 3.01(range of scores: 0∼4) (75.2 percentile), perceived seriousness 2.91(range of scores: 0∼4) (72.7 percentile), perceived barrier 2.09(range of scores: 0∼4) (52.3 percentile), perceived susceptibility 2.01(range of scores: 0∼4) (50.3 percentile). The means of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seriousness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means of perceived barrier and perceived susceptibility were relatively low.
3. The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HPV vaccination was 5.5 (n=43).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in majors(t=3.75, p<0.01), grades(F=7.92, p<0.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PV vaccination rate according to age groups(p=0.010), grade(p<0.01), smoking status(p=0.031).
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and HPV vaccination rate according to sexu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liefs according to menarche age groups(p=0.048).
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among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p=0.002).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PV vaccination rate among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PV vaccination rate among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p<0.01).
In conclusion, the level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was low. Regarding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level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barrier were low whereas levels of perceived seriousness and benefit were high. Furthermore, only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received HPV vaccination. The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is effective to enhance health beliefs about HPV vaccination, and enhanced health belief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HPV vaccination rate. Therefore, concrete educational programs and advertisement is needed to reduce HPV infection and to increase HPV vaccination rate. Also, this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include strategies emphasizing the perceived seriousness and benefit in health beliefs in addition to knowledge about HPV and cervical cancer.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여대생의 자궁경부암 지식,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및 접종실태를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이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위험을 줄이고,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률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나 홍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 소재 대학 중 비비례층화표집법을 사용하여 9개 대학을 표집하였고, 해당대학의 여대생 중 77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김정효와 박미경(2009)의 자궁경부암 지식 도구와 김혜원과 안혜영(2007)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지식 도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자궁경부암 지식 23문항과 최경아 등(2008)이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개발한 설문문항을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χ²-test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Tukey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궁경부암 지식은 평균 13.75점(21점 만점) 백분율 환산시 59.78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2. 대상자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점수는 지각된 유익성이 평균 3.01점(4점 만점) 백분율 환산시 75.2점, 지각된 심각성이 평균 2.91점(4점 만점) 백분율 환산시 72.7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각된 민감성은 2.01점(4점 만점) 백분율 환산시 50.26점, 지각된 장애성은 2.09점(4점 만점) 백분율 환산시 52.3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3.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자는 여대생 총 777명 중 43명으로 5.5%를 차지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은 전공(t=3.75, p<0.01)과 학년(F=7.9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실태는 연령(p=0.010), 학년(p<0.01), 흡연경험(p=0.03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성 관련 특성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및 접종실태의 차이에서는 첫 성교 연령과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건강신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8).
6. 자궁경부암 지식(상/하)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또한 자궁경부암 지식(상/하)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상/하)에 따른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대상자인 여대생의 자궁경부암 지식은 낮았고, 건강신념 중 심각성과 유익성은 높았으나 민감성과 장애성은 낮았으며,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률은 5.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부암 지식은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건강신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며, 건강신념의 향상을 통해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률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위험을 줄이고 예방접종률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 홍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에는 인유두종바이러스 지식뿐만 아니라 건강신념 중 심각성과 민감성을 강조하는 교육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Levels of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warded Date
2011-02
Degree
석사
Citation
이은주. (201012). 여대생의 자궁경부암 지식,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및 접종실태.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008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