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일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의 체류시간 및 관련 요인 분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08-12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analyze stay hours and the related factors in the patients at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2 patients who visited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 a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7, 2008 to August 7, 2008. The stay hours from reception to the physician's response, hours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 total stay hours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were measure and analyzed.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using SPSS WIN 13.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tay hours from reception from to the physician's response was 49.90minutes, the average hours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 was 884.29 minutes, and the average total stay hours was 1056.62minutes.
2. According to patients' levels of severity and the types of dmission and discharge, the physician's response hours(t=2.23, p=.027; F=3.07, p=.029), hours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t=-3.60, p<.001; F=5.22, p=.002), and total stay hours(t=-4.18, p<.001; F=6.22,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3.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e physician's response hours, hours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delayed stay. As the physician response hour were delayed one minute, the possibility of the delayed stay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is 1.36 times high. As the hour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 is delayed one minute, the possibility of the delayed stay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is 1.16 times high.
4.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the delayed stay was the shortage of hospital rooms(11.8%).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stay hours such as the physician's response hours, the hours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 total stay hours at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were considerably delayed. The main factors for the total stay hours were the physician's response hours and the hours for decision of admission·discharge.
본 연구는 일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대상자의 체류시간 및 관련요인을 조사,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8년 7월 7일부터 8월 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일개 광역시에 소재한 일 권역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초진환자 중 1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일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의 전공의 응대시간, 입·퇴원 결정시간, 총 체류시간을 측정,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 13.0 program을 이용한 전산통계를 이용하여 빈도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응급실 내원 후 전공의 응대시간은 평균 49.90분, 입·퇴원 결정시간은 평균 884.29분으로 약 14.7시간, 응급실 총 체류시간은 평균 1056.62분으로 약 17.6시간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중증도 및 입·퇴원 형태에 따라 전공의 응대시간(t=2.23, p=.027; F=3.07, p=.029), 입·퇴원 결정시간(t=-3.60, p<.001; F=5.22, p=.002), 총 체류시간(t=-4.18, p<.001; F=6.22,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응급실 체류지연 예측요인은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전공의 응대시간과 입·퇴원 결정시간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응대시간이 1분 지연될수록 응급실 체류지연의 발생 가능성이 1.36배 높으며, 입·퇴원 결정시간이 1분 지연될수록 응급실 체류지연의 발생 가능성이 1.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응급실 체류지연의 이유로 병실부족 때문에 11.8%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일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원환자의 전공의 응대시간, 입·퇴원 결정시간 및 총 체류시간이 지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환자의 응급실 총 체류시간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은 전공의 응대시간, 입·퇴원 결정시간 이었다.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stay hours and the related factors in the patients at a ri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warded Date
2009-02
Degree
석사
Citation
천숙진. (200812). 일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원 환자의 체류시간 및 관련 요인 분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052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