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 예측모형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08-12
Abstract
This is a model verification study to form a hypothetic model regarding the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and to verify empirical data and model fitness by the path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each concept of the life quality by presenting an explanation of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and suggestion of a prospective model.
The hypothetic model predicting the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includes the social demographic elements such as age, household income level, health condition and shift duty, th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support of superiors or co-workers, job stress,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Job Satisfaction Decision Theory of Knoop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documents investigations. Twenty five hypothetic models and modification models were made, out of which 16 hypotheses were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self-written questionnaires from 437 clinical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 area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1 to July 31, 2008.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with SPSS WIN 12.0 Program. To verify the fitness of the hypothetic model, AMOS 5.0 Program was used. In order to enhance the model fitness after analyzing the fitness of the hypothetic model, a modification model was formed by eliminating 7 paths based on statistical criteria and theoretical bases. As the fitness of the modification model indicated =14.501, pvalue=0.106, RMR=0.042, GFI=0.993, AGFI=0.964, NFI=0.986, TLI=0.978 and CFI=0.994, its reasonableness was suppor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the predictable variables on job stress in the modificat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age, health condition and shift duty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whereas household income level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workers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It was statistically valid.
2. The effect of the predictable variables on self-esteem in the modificat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household income level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worker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whereas job stress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It was statistically valid.
3. The effect of the prediction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in the modificat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household income level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worker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whereas job stress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It was statistically valid.
4. The effect of the predictable variables on subjective life quality in the modificat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household income level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workers, sense of self-esteem and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direct effects whereas job stress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Particularly household income level, shift duty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worker were indicated to have a gross effect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ogether. It was statistically valid.
In conclusion, our study fou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most on the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to be job stress, sense of self-esteem, job satisfaction, shift duty, household income level and support of superiors and co-workers. These variables can be used for the base data to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further improvement of the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경험적 자료와 모형의 적합도를 경로분석으로 검정하는 모형검정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각 개념들이 삶의 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Knoop의 직무만족결정 이론과 문헌고찰을 통해 연령, 가족소득수준, 건강상태, 교대근무 등의 개인적 요인, 상사 및 동료 지원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 업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을 포함하여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을 예측하는 가설 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 모형과 수정 모형에서 가설이 25개 도출되었으며, 검정 결과 1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8년 7월 11일부터 7월 31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D지역 소재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총 4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분석하였고, 가설 모형에 대한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해 AMOS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설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후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통계적인 기준과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7개의 경로를 제거하여 수정 모형을 구성하였다. 수정 모형의 적합도는 =14.501, pvalue=0.106, RMR=0.042, GFI=0.993, AGFI=0.964, NFI=0.986, TLI=0.978, CFI=0.994로 나타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정모형에서 업무스트레스에 대한 예측변수의 효과는 연령, 건강상태, 교대근무가 정적인 방향으로, 가족소득수준, 상사 및 동료지원은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자아존중감에 대한 예측변수의 효과는 가족소득수준, 상사 및 동료지원, 직무만족은 정적인 방향으로, 업무스트레스는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직무만족에 대한 예측변수의 효과는 가족소득수준, 상사 및 동료지원은 정적인 방향으로, 업무스트레스는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효과는 가족소득수준, 상사 및 동료지원,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이 정적인 방향으로, 업무스트레스가 부적인 방향으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소득수준, 교대근무, 상사 및 동료지원의 경우 직접효과와 함께 간접효과가 포함되어 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업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직무만족, 교대근무, 가족소득수준, 상사 및 동료지원임이 확인되었다. 이 변수들은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이해와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A Prosprective Model of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Awarded Date
2009-02
Degree
박사
Citation
윤정원. (200812). 임상간호사의 주관적 삶의 질 예측모형.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054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