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기독교를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04-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based on 6 spiritual needs through the spirituality experienc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First,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as developed based on 6 spiritual needs, and second, the effect analysis of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as done with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ne 28th, 2004 to October ninth, 2004. The subjects were forty-one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assigned to two groups, 20 experimental group and 21 control group that regarded as they can't live more than 6 months from the physician in charge of one general hospital.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ANCOVA test, Cronbach's test with SPSS/Win 10.0 program, and by record in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velope of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was developed based on 6 spiritual needs through the spirituality experienc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developed spiritual nursing program was corrected and revised with the advices from 9 experts.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was recognized by 6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final program was organized with 12times, and it included the 6 spiritual need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need of meaning and purpose, of love and concern, of forgiveness, of faith, of hope, and comfort and convenient in contents, and use of self, of bible, of hyme, of prayer, and the request to a minister in the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and intervention items were drew up with the 6 spiritual needs.
The develope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were produced with a brochure and cassette tape under the title of the "spiritual nursing guide"
In the spiritual needs which gained from the spiritual needs assessment were provided the spiritual nursing two times per one need with a score in good order of scores.
2. Effect analysis of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1) The first hypothesis, "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level of pain degre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63.57, P=0.000). In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when the highest pain of 24 hours(F=38.22, P=0.000), when the lowest pain of 24 hours(F=24.37, P=0.000), mean pain(F=22.98, P=0.000), at that time of research(F=46.01, P=0.000).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level of death anxiety degre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71.46, P=0.000). In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isolation(F=46.48), worrying about the others(F=116.16, P=0.000), uncertainty after death(F=176.10, P=0.000), loss of ability(F=104.02, P=0.000), non-existence(F=59.40, P=0.000), place & mode of dying(F=52.75, P=0.000), meaning of death(F=74.55, P=0.000).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level of loneliness degre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47.86, P=0.000).
4)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degre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11.45, P=0.000).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s that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their pain, death anxiety, loneliness and improving their well-being. Therefore, strategy development that can spread the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spiritual sufficiency is needed.
본 연구는 말기암환자의 영성체험결과에서 도출된 6가지 영적요구를 바탕으로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유사실험연구이다.
1단계인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은 6가지 영적요구를 바탕으로 개발하였으며, 2단계인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은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6월 28일부터 10월 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1개 종합병원에서 주치의로부터 6개월 이상 살 수 없다는 진단을 받은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1명으로 총 41명이었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고 두 집단의 동질성 검사는 χ²-test, t-test, 가설검증은 ANCOVA 검증, 신뢰도 검사는 Cronbach , 대상자의 경험은 기록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 개발
말기암환자의 영성체험 결과에서 도출된 6가지 영적요구를 바탕으로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영적간호프로그램은 9명의 전문가들로부터 평가를 받아 수정, 보완 및 삭제한 후, 2명의 전문가로부터 재평가를 받은 후 최종 수정, 보완한 후, 말기암환자 6명에게 적절성을 조사한 결과 적절성이 인정되었다.
최종 개발된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은 총 12회로 구성되었으며 내용으로는 말기암환자의 6가지 영적요구인 의미와 목적의 요구, 사랑과 관심의 요구, 용서의 요구, 믿음의 요구, 희망의 요구, 평온과 안위의 요구의 사정도구 문항작성, 영적간호중재내용으로는 자신의 치료적 사용, 성경의 사용, 찬송의 사용, 기도의 사용, 성직자에게 의뢰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내용별 중재문항을 6가지 영적 요구별로 분류하여 작성하였다.
개발된 영적간호중재내용은 “영적간호지침서”라는 제목 하에 소책자와 카세트 녹음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영적요구사정결과 얻어진 영적요구는 고득점순위로 정하여 한 가지 요구 당 2회의 영적간호를 제공하였다. 영적간호프로그램은 4주(매주 3회, 총 12회)동안 실시하였다.
2.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 효과
1) 제 1가설에서 “영적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정도가 낮아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통증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F=63.57, P=0.000),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위영역에서는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F=38.22, P=0.000), 24시간 동안 가장 약했을 때(F=24.37, P=0.000), 평균 통증(F=22.98, P=0.000), 조사당시 바로지금(F=46.01, P=0.000)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제 2가설에서 “영적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죽음불안정도가 낮아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죽음불안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F=171.46, P=0.000),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위영역에서는 고립(F=46.48, P=0.000), 타인에 대한 염려(F=116.16, P=0.000), 사후의 불확실성(F=176.10, P=0.000), 능력상실(F=104.02, P=0.000), 존재 없어짐(F=59.40, P=0.000), 죽음의 장소 및 방법(F=52.75, P=0.000), 죽음의 의미(F=74.55, P=0.000)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제 3가설에서 “영적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고독감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고독감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F=147.86, P=0.000),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에서 “영적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적안녕정도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영적안녕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F=111.45, P=0.000),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통증, 죽음불안, 고독감을 감소시키고, 영적안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영적간호프로그램은 말기암환자들이 영적충족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되며, 말기암환자에게 확대, 보급 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ffect of Spiritual Nurs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 Based on the Christianity
Awarded Date
2005-02
Degree
박사
Citation
윤매옥. (200412). 말기암환자를 위한 영적간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기독교를 중심으로-.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122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