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농촌지역 주민의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3-06
Abstract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의 증가로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는 골다공증은 골절위험을 증가시켜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경상북도 고령군에 거주하는 주민으로 연구에 참여한 1315명 중에서 50세 이상 남성과 50세 이상의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학적인 특성 및 건강정보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으며, 신체계측(키, 몸무게, 허리둘레), 골밀도,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표지 측정을 위해 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대상자 중 1094명(남자 422명, 여자 672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33.5%이고, 남성과 여성은 각각 28.4%와 36.6%로 여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1). 대사증후군과 비 대사증후군 간에 골밀도는 남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에서는 연령을 보정 후 대사증후군이 있는 군이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p < 0.05). 골밀도와 임상적 마커의 상관관계에서 이완기혈압은 남녀 두 군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 0.05), 중성지방은 남성에서만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여성에서 골밀도와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 중 중성지방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다중회귀분석결과 남성에서는 연령, 체질량지수가 유의한 골밀도 예측인자로 나타났고(p < 0.05), 여성에서는 연령, 허리둘레, 폐경나이가 유의한 골밀도 예측인자로 나타났다(p < 0.05).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에서 대사증후군의 요소 중 허리둘레가 골밀도의 주요한 예측인자임을 나타낸다.
In Korea the elderly population (those over the age of 65) has been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number of increasing elderly, chronic disease rates have increased. Osteoporosis, which is a significant health problem, most commonly occurs in the elderly, increasing mortality and morbidity by causing the danger of fra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Met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rural residents. The survey targets were residents aged ≥ 50 years at enrollment in the rural area, Goryeong.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94 (422 male, 672 female). MetS was defined as having three or more MetS risk factor. BM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age increased in both genders (p < 0.01). Between the MetS and non MetS, there is no difference in BMD in males, but MetS adjusted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p < 0.05). In correlation between BMD and clinical makers,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enders. However, triglyceri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in males (p < 0.01). In many variables that affect the BMD adjusted-analysis, T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ales (p < 0.05). After multi regression analysis, age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BMD in males (p < 0.05), but age, waist circumference and age at menopausa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MD in females (p < 0.05). This result showed that the WC in MetS component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BMD in females.
Alternative Title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Residents in Rural Area
Awarded Date
2013-08
Degree
석사
Citation
이은주. (201306). 농촌지역 주민의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의 관련성.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463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