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두개골영상으로부터 얻은 한국인의 나이별(0∼20세) 두개골지수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0-12
Abstract
두개골지수(cephalic index)는 최대두개골너비를 최대두개골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비지수(proportion index)로서 긴머리형(dolicocephalic), 중간머리형(mesocephalic) 그리고 짧은머리형(brachycephalic)으로 분류한다. 인종과 민족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현대 한국인의 두개골지수는 짧은머리형에서 매우짧은머리형(hyperbrachycephalic)으로 점점 짧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 한국인의 두개골지수를 계측한 연구에는 시대에 따른 두개골지수의 변화에 관한 연구만 있을 뿐, 머리 성장에 따른 두개골지수의 변화에 관한 국내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인의 나이와 성별 따른 두개골지수를 조사하였다.
2000 년 1 월부터 2008 년 7 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을 방문하여 두개골x-선사진촬영을 받은 0 세에서 20 세까지의 외상환자 집단의 의무기록을 후향적 조사하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 질환, 기형 또는 변형이 없고 단순 타박상으로 진단 받은 2156 명 중에서 나이별로 무작위로 총 1222 명(남성 703 명, 여성 519 명)을 추출하였다. 머리크기의 변화가 빨리 일어나는 1 세 이전에는 2, 4 그리고 8 개월로 세분화하였으며, 나머지 연령군은 1 년 간격으로 구분하였다. 두 대의 방사선기계(Accuray Q-20와 Q-725R, Shimadzu사, 일본)로써 촬영하였는데, 필름과 X-선관 사이의 거리는 970 mm, 그리고 머리와 필름과의 거리는 56 mm로써 확대율은 106%였다. 촬영된 두부X-선사진을 Marosi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Marotech사, 한국)를 통하여 파일로써 획득한 다음, 이 파일을 PhotoshopⓇ(version 11.0, Adobe사, 미국)에서 계측하였다. 두개골X-선사진을 표준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해 측면두개골X-선사진에서는 Frankfort수평면에, 전후면두개골X-선사진에서는 laterao-orbitale를 이은 선을 기준으로 하였다. 최대머리길이는 측면두개골X-선사진으로부터, 최대머리너비는 전후면두개골X-선사진으로부터 구한 다음, 각각의 두부X-선사진에 위치시켜 둔 50 mm의 표시자의 확대율로써 환산함으로써 실제거리를 구하였다. 다음, 두개골지수를 구하였다.
남녀의 두개골지수의 차이는 없었으며(p=0.4848),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01). 이러한 전체적 감소는 남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p<0.0001),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4741). 남녀 두개골지수를 비교해보았을 때, 11 세를 기점으로 여성의 평균 두개골지수가 남성보다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두개골지수의 계측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나이에 따른 평균 두개골지수를 구하였다.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은 짧은형 또는 매우짧은형이었으며, 두개골지수는 나이가 들수록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Cephalic index(CI) is the proportion index that shows in percentage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 of the head to its maximum length. It is used to classify the head as dolichocephalic (long headed), mesocephalic (moderate headed) or brachycephalic (broad headed), and every race has its unique characteristics. Modern Korean cephalic index is known to be brachycephalic or hyperbrachycephalic. Previous studies published in Korea were limited to demonstrating the periodical change of the cephalic index, but the references about the chronological change of CI are rar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CI change in 0 to 20 year-old Koreans by sex and age.
The measurement was done on 1,222 Koreans ranging from 0 to 20 years of age, randomly selected from 2,156 who were diagnosed as simple concussion and had no other diseases or anomalies, and who took cephalograph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08. The children younger than 1 year of age who have rapid cranial development were subdivided into 2, 4 and 8 months. Two x-rays (Shimadzu, Accuray Q-20, Q-725R, Japan) were used, the distance from the film to the x-ray emitter was 960 mm, and the distance from object to the film was 56 mm. The enlargement ratio was 106%. The files were obtained from Marosi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Marotech) and then, photogrammetry was done by photoshopⓇ (version 11.0, Adobe). To standardize the cephalograph, the Frankfort horizontal line was selected as the reference line on lateral view and the line connecting both lateral-orbitales as the reference line on AP view. The maximal length was obtained from the lateral cephalograph and the maximal breadth from the AP cephalograph.
The cephalic index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p=0.4848). The cephalic index and ag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0.0001). Analyzed separately by the male and the female, it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ale (p<0.0001), but not in the female (p=0.4741). Comparing the CI above the age of 11, the CI of the female becomes greater than that of the ma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cephalic index measurement and the authors could obtain the average CI by the age.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CI is decreasing according to the age and most Koreans belonged to barchycephalic or hyperbrachycephalic.
Alternative Title
Chronologic Change of Korean Cephalic Index (0 to 20 years) Obtained from Cephalograph
Awarded Date
2011-02
Degree
석사
Citation
윤상호. (201012). 두개골영상으로부터 얻은 한국인의 나이별(0∼20세) 두개골지수.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604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