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에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의 발현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06-12
Abstract
최근 갑상선 초음파 검진과 함께 흡인 세포검사가 보편화되면서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의 발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갑상선 유두암종의 병리학적 진단은 특징적인 종양세포의 핵 변화와 함께 유두상 구조 및 미세 석회화 등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갑상선의 양성 병변이나 정상 조직에서도 위의 형태적 특징들이 보일 수 있어 진단상 문제가 초래되기도 한다. 현재 갑상선암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분자 표지자들이 연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갑상선 미세유두암종을 대상으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이들 분자 표지자들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2003년 3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외과에서 적출한 갑상선의 미세 유두암종으로 진단된 3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비는 1:36이었고 평균 연령은 47세(26-69세)였다. 병변의 위치는 좌우엽이 각각 15예와 12예였으며 병변의 크기는 0.1-1 cm 사이로 평균 0.6 cm이였다. 그중 6예에서 다중심성 병변(multicentric lesion)을 보였다. 미세 유두암종에 동반된 병변은 여포 선종 1예, 과증식성 결절 병변 8예, 하시모토 갑상선염 8예, 림프구 갑상선염이 4예였다. 11예는 동반된 병변이 없었다. 미세 유두암 현미경 슬라이드를 재검하여 3-6개의 부위를 선택한 후 조직 배열(tissue microarray)로 파라핀 블록을 다시 제작하여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미세 유두암종 조직에서 galetin-3은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국한되어 염색되었고 cytokeratin 19는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강하게 염색되었다. HBME-1은 주로 종양 세포의 세포막을 따라 염색되는 양상을 보였다. Galectin-3와 HBME-1에서는 37예 모두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Cytokeratin 19는 37예 중 단 1예에서 음성이었다. 이들 분자 표지자들에 대한 염색의 반응 범위나 강도는 다양하였다. 정상 갑상선 조직에서는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동반된 병변 중 하시모토 갑상선염에서 일부에서 이들 분자 표지자에 대해 국소적 양성 반응을 보였는데 그 의미는 추후 갑상선암의 종양 형성 연구의 한 과제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 결과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 분자 표지자들이 갑상선의 미세 유두암종에서 소수의 종양세포를 정확하게 검색하는데 보조적 진단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ith the wide use of ultrasonography and fine needle aspiration of the thyroid gland, the incidence of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is rapidly increasing nowadays. The diagnosis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has been made by the characteristic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papillary fronds, psammoma bodies and typical nuclear changes, including ground glass nuclei, nuclear grooves and nuclear pseudoinclusions. However, these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 findings of the papillary carcinoma may be observed in a variety of benign thyroid lesions. To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for thyroid carcinoma various molecular markers have been used recently.
In this stud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ntibodies for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in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Using a monoclonal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we analysed expression of three molecular markers in 37 cases of papillary microcarcinoma from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from 2003 to 2006. There were 36 women and one man ranging from 26 to 69 years old, with an average of 47 years. Tumor size ranged from 0.1 to 1 cm (average 0.6 cm). Multicentricity was present in 6 cases. Accompanied pathologic lesions were various benign lesions such as follicular adenoma (1 case), lymphocytic thyroiditis (4 cases), hyperplastic nodules (8 cases) and Hashimoto's thyroiditis (8 cases).
Immunohistochemically, galectin-3 expression was found in all the cases of papillary microcarcinoma. Its localization was mostly cytoplasmic. Cytokeratin 19 expression was found in 36 cases. It was mostly localized to the cytoplasm and membrane. HBME-1 expression was found in all cases. Its localization was plasma membrane. The expression of three molecular markers in normal thyroid tissue and accompanying benign lesions is absent although there are scattered foci of incomplete positive staining in cases of Hashimoto's thyroiditi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is an useful adjunctive method for th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a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Alternative Titl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in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Awarded Date
2007-02
Degree
석사
Citation
김진환. (200612).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에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의 발현.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838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