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투명 신세포암의 예후인자로서의 Caveolin-1과 Ki-67의 발현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김병훈
Alternative Author(s)
Kim, Byung Hoon
Issued Date
2004-12
Abstract
Caveolin-1은 vesicular transport에 관여하는 미세구조인 caveolae를 구성하는 주요단백질로 종양,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근 위축 등의 질환에서 발현된다. 특히 최근에는 종양에서 caveolin-1의 발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투명 신세포암에서 예후인자로서 caveolin-1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의 유용성을 알기 위해 종양특이단백질인 Ki-67의 발현과 함께 기존의 예후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3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본원에서 신종양으로 근치적 신절제술을 시행 한 158례 중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투명 신세포암 11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6세(19―83)이며, 평균 추적기간은 56개월(9―145)이었다. 저자들은 caveolin-1과 Ki-67의 발현을 종양의 크기, TNM병기, 핵분화도, 혈관침범, 피막침습 여부, 전이 여부, 술 후 전이, 생존 여부 등과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Chi-square와 ANOVA,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이용하였다.
119례 중 3례에서 림프절전이가, 22례에서 원격전이가 있었다. 원격전이 중 7례는 신세포암 진단 당시에 이미 전이가 있었고, 술 후 전이 15례는 평균 36개월(7―90)후에 전이가 발견되었다. caveolin-1발현의 증가는 T병기(p=0.004), TNM병기(p=0.013)의 상승, 전이(p=0.013), 술 후 전이(p=0.001)의 증가와 통계적 관련이 있었고, Ki-67 발현의 증가는 T병기(p=0.041)와 핵분화도(p=0.011)의 상승, 혈관침범(p=0.043)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Caveolin-1과 Ki-67의 grade가 높아질수록 유의한 증가를 보인 T병기의 경우 Ki-67 Grade가 Caveolin-1 grade 보다 T병기의 증가에 더 연관이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25). Caveolin-1과 Ki-67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0).
Caveolin-1의 발현은 투명 신세포암의 T병기, TNM병기, 전이 여부, 술 후 전이와 연관이 있으며, Ki-67의 발현은 T병기, 핵분화도, 혈관침범여부와 연관이 있었다. Caveolin-1의 발현은 종양특이단백질인 Ki-67의 발현보다 현재의 병기와 전이 여부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술 후 전이가 있을 때 발현이 높아 향후 암의 진행을 사전에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Caveolin-1 is proposed to represent a novel tumor suppressor protein and expression of recombinant Caveolin-1 is sufficient to restrict the growth potential of transformed cells isolated from primary tumors of the breast, lung, and ovaries. Also, Caveolin-1 is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in prostate and esophageal cancer.
We have examined the status of the Caveolin-1 and Ki-67 index in 119 clear cell carcinomas of the kidney by method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The association of the expression of Caveolin-1 and Ki-67, with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ch as tumor size, nuclear grade, TNM stage, vascular invasion, capsular invasion, metastasis and metachronous metastasis were investigated.
Of the 119 tumors analyzed, limp node and distant metastasis (synchronous metastasis: 7, metachronous metastasis: 15) were shown at 3 and 22 case, respectively. Caveolin-1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T stage (p=0.004), TNM stage (p=0.013), metastasis (p=0.013) and post operative metastasis (p=0.001). Ki-67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T stage (p=0.041), nuclear grade (p=0.011), and vascular invasion (p=0.043).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re was association between the Caveolin-1 and Ki-67 expression (p=0.050).
Caveolin-1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T stage, TNM stage, metastasis and metachronous metastasis. Ki-67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the T stage, nuclear grade, and vascular invasion. Caveolin-1 expressed frequently in patients with post operative metastasis. These result show that expression of Caveolin-1 may be used as a predictor of metastasis after surgery for clear cell carcinoma of the kidney.
Alternative Title
Caveolin-1 and Ki-67 Expression as Prognostic Factors in Clear Cell Carcinoma of Kidney
Awarded Date
2005-02
Degree
석사
Citation
김병훈. (200412). 투명 신세포암의 예후인자로서의 Caveolin-1과 Ki-67의 발현.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973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