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구강 함수액에 따른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치아착색 차이 비교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6-12
Abstract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quasi-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oral care on oral health status (oral status, dry mouth, halitosis, saliva pH, microorganism growth in oral cavity) and tooth stain according to the oral solution types using 4% normal saline, 0.1% Chlorhexidine and Tantum in elderly patients stay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promote oral health in clinical area. A total of 55 patients at 3 long-term care hospitals in D and K Provinc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to October 4, 2016.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x2-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Wilcoxon Signed Rank test, Kruskal Wallis test, Mann Whitney U test with the SPSS 22.0 software to answer the hypotheses. As a result of the study, halitosis (χ2=10.714, p=.005) and saliva pH (χ2=6.846, p=.033) sco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among the three groups of 4% normal saline, 0.1% Chlorhexidine, and Tantum. However, the oral status, dry mouth, microorganism growth in oral cavity, tooth stain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of the follow-up test, the halitosis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4% normal saline group than the Tantum group and saliva pH was higher in the 4% normal saline group than 0.1% Chlorhexidin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complaint about the discomfort by applying Chlorhexidine or Tantum, normal saline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in clinical area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ral care using normal saline on the microorganism growth in oral cavity for elderly patients stay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for the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입원노인환자를 대상으로 4% 생리식염수, 0.1% 클로르헥시딘, 탄툼을 이용한 구강 함수액에 따른 구강건강상태(구강상태, 구강건조, 구취, 타액 pH, 구강 내 세균 집락)와 치아착색에 미치는 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구강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 K 도의 환자 특성 및 병상 수가 유사한 3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55명의 노인환자를 편의 표집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10월 4일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x2-test, Fisher's Exact test, one-way ANOVA, Wilcoxon Signed Rank test, Kruskal Wallis test, Mann 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4% 생리식염수, 0.1% 클로르헥시딘, 탄툼 세 군간 구취(χ2=10.714, p=.005)와 타액 pH (χ2=6.846, p=.033)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상태(χ2=1.555, p=.460), 구강건조(χ2=0.155, p=.926), 구강 내 세균 집락(χ2=0.058, p=.972), 치아착색(χ2=0.114, p=.945)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취와 타액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4% 생리식염수가 탄툼보다 구취에 효과적이었으며, 4% 생리식염수가 0.1% 클로르헥시딘보다 타액 pH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클로르헥시딘과 탄툼에 불편감을 호소하는 요양병원 노인환자에게 구강간호를 제공할 시, 상대적으로 불편감이 낮은 4% 생리식염수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4% 생리식염수를 적용한 구강간호도 구강 내 세균 집락 정도에 클로르헥시딘 및 탄툼과 동일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므로, 향후 감염발생 위험이 있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4% 생리식염수를 적용한 구강간호 수행 결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4% 생리식염수는 구강 함수액으로 불편감이 낮고, 구취예방에 도움이 되며, 타액 pH 개선에 효과적이므로 요양병원 입원노인환자의 구강건강상태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Oral Care on the Oral Health Status and Tooth Stain by Oral Solution Types for Elderly Patients Staying at Long –Term Care Hospitals
Awarded Date
2017
Degree
석사
Citation
배지숙. (201612). 구강 함수액에 따른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구강건강상태와 치아착색 차이 비교.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2930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