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 : 신체상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6-06
Abstract
This study use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develop a model for estimating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thyroid cancer patients who had had surgery and verify the model based on the fear-avoidance model by Newell (1999)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tudy was done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female thyroid cancer patients who had had surgery by confirming the variable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by demonstrating causality between the variables.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neurotic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support factors.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body image, avoidance, confronta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294 female thyroid cancer patients who had had a traditional thyroidectomy at an outpatient clinic of K Medical Center in D City from March 16 to April 12, 2016. The analysis was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WIN 18.0 program, and the model of the hypothesis was examined with AMO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hypothesized model didn't exhibit a goodness of fit index. Therefore, the model was modified by adding a path analysis of social support and confrontation based on theoretical validity. The final modified model showed goodness of fit indices (X2=89.67 (p<001), X2/df=2.36, GFI=.96, IFI=.95, TLI=.90, CFI=.95, RMSEA=.07, AIC=169.67). Of 18 hypotheses, 14 were supported by the hypothesized model.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body image,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in female thyroid cancer patients who had had surgery, which demonstrated 50.3% of total explained variance of quality of life.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neuroticism, social support, and body im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which demonstrated for 38% of total explained variance of depression. In addition, social support, neuroticis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body image, which demonstrated 17.7% of total explained variance of body image. Body imag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ffect on avoidance, which demonstrated for 91.0% of total explained variance of avoidance. Social support, body imag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nfrontation, which demonstrated for 21.1% of total explained variance of confrontation.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which can improve body image and reduce depres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thyroid cancer patients who have had surgery. In addition,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enhanced by social support. Especially in this study, body image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of the variables. Therefore, there should be a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body image.
본 연구는 Newell의 두려움-회피 모델과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간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파악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적 모형은 신경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지지를 외생변수로 하고, 신체상, 회피, 직면, 우울,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6일부터 4월 12일까지 D광역시 소재 A대학병원 1곳의 유방내분비외과 외래를 내원하는 갑상선암 진단을 받고 전통적 방법으로 갑상선절제술을 시행한 후 정기적으로 검진을 하는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 310명을 조사하였다. 그 중 동반질환에 우울증을 기입한 4명과 이상치 를 나타낸 12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9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특성과 주요변수의 서술통계, 잠재변수간의 상관관계, 다중공선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일부 적합도 지수가 권장하는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이론적 타당성에 근거하여 사회적 지지에서 직면으로 가는 경로를 추가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최종 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는 x2(p)=89.67 (p<.001), x2/df=2.36, GFI=.96, IFI=.95, TLI=.90, CFI=.95, RMSEA=.07, AIC=169.67로 적합도 지수가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2. 최종 모형의 검증결과로 18개의 가설적 경로 중 14개의 경로가 지지되었다.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신체상, 우울, 사회적 지지 순이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의 설명력은 50.3%로 나타났다.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신경증, 사회적 지지, 신체상 순이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우울의 설명력은 38.0%로 나타났다. 신체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사회적 지지, 신경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순이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신체상의 설명력은 17.7%로 나타났다. 회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신체상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순이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신체상에 대한 설명력은 91.0%로 나타났다. 직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변수는 사회적 지지, 신체상,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순이며, 이들 변수들에 의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직면의 설명력은 21.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체상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삶의 질 주요변수인 신체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신체상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Quality of Life in Female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Surgery: Focused on Body Image
Awarded Date
2016-08
Degree
박사
Citation
최미정. (201606). 여성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 : 신체상을 중심으로.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2942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