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 개발 및 효과 검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6-08
Abstract
This research is a quasi-experiment based 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velop mobile applications for postpartum care of primiparous mothers and to validate its effect.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primiparous mothers who delivered at hospital for women located in D city consisting of 26 pati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use the mobile app for 6 weeks after delivery. To validate the effect, Kwag’s tool was revised and modified to measured the level of postnatal self-care and infant care knowledge and confidence. Postnatal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Han’s translated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DPS) developed by Cox, Holden, Sagovsky.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postpartum care mobile app, postnatal self-care knowledge(p= .030) and confidence(p= .023) infant care knowledge(p= .001) and confidence(p= .004) were significantly high, while postnatal depression(p= .02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proved that the postpartum-care mobile app developed in this research was effective in reinforcing postpartum self-care knowledge, confidence and infant care knowledge, confidence as well as preventing postnatal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mobile app based postpartum-care system allowed the subjects to immediately look up what they needed, which made them adapt to self-care and infant handling more quickly, resulting in positive results.
본 연구는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비교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여성병원에서 분만한 초산모로 대조군 26명, 실험군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에게는 산후 6주간 모바일 앱을 활용하도록 하고 대조군에게는 제공하지 않았으며, 효과검증을 위해 Kwag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을 측정하고, 산후우울은 Cox, Holden, Sagovsky가 개발한 에딘버러 산후우울척도(EPDS)를 Han이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IBM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test, 및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산후관리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산후 자가간호 지식(p= .030)과 자신감(p= .023), 영아돌보기 지식(p= .001)과 자신감(p= .0과 자신감(p= .023), 영아돌보기 지식(p= .001)과 자신감(p= .004)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산후우울(p= .021)은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후관리 모바일 앱은 산후 자가간호 지식과 자신감, 영아돌보기 지식과 자신감을 강화하고 산후우울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이 결과로 모바일 앱기반 산후관리의 특성상 본인의 미흡한 점은 앱을 통하여 즉각적으로 찾아보고 보완할 수 있었기에 자가간호와 영아돌보기에 더 빨리 능숙해 지면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Testing of Postpartum Care
Awarded Date
2016-08
Degree
석사
Citation
이주연. (201608). 초산모를 위한 산후관리 모바일 앱 개발 및 효과 검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2946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