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음성증상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7-06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using group art therapy on negative symptoms, motivation and pl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 hygiene and attendance in a hospital program.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dmitted to the D psychiatric wards in D city, Korea. There were 1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collection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November 28, 2016, to January 28, 2017.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using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six week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effect was examined by measuring negative symptoms, motivation and pl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hygiene and attendance in a hospital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0.0.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hypothesis was tested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ange in negative symptom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7.73, p=.009). There was also a difference according to measurement time of group (F=22.12, p<.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 time and the group interaction (F=50.29, p<.001).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hange in motivation and pleasure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21.92, p<.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 time and the group interaction (F=29.81, p<.001).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797.43, p<.001),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measurement time of group (F=46.21,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 time and the group interaction (F=12.20, p<.001).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ange in personal hygien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2.925, p=.097),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measurement time of group (F=25.65,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 time and the group interaction (F=20.40, p<.001).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change in attendance in a hospital progra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32.55, p<.001),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measurement time of group (F=15.81,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 time and the group interaction (F=17.34, p<.001).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using group art therapy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negative symptoms, motivation and pleasu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 hygiene and attendance in a hospital program among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목적: 본 연구는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음성증상, 동기와 즐거움, 대인관계 기능, 개인위생 수행률 및 병동 프로그램 참석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D시 소재의 D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 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 중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28일부터 2017년 1월 28일까지이다.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은 1회기 50분의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주 2회 6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음성증상, 동기와 즐거움, 대인관계 기능, 개인위생 수행률 및 병동 프로그램 참석률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사전 점수에 대한 실험 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종속변수에 대한 실험 전 동질성은 독립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가설검정은 반복 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미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음성증상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고(F=7.73, p=.009), 집단 내 측정시기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22.12, p<.001),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0.29, p<.001). 2.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동기와 즐거움 점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21.92, p<.001),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9.81, p<.001). 3.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대인관계기능점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F=797.43, p<.001), 집단 내 측정시기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6.21, p<.001),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2.20, p<.001). 4.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개인위생 수행률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2.925, p=.097), 집단 내 측정시기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5.65, p<.001).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0.40, p<.001). 5.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병동프로그램의 참석률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2.55 p<.001), 집단 내 측정시기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15.81, p<.001),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7.34, p<.001). 결론: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은 만성 조현병 환자의 음성증상, 동기와 즐거움, 대인관계기능, 개인위생 수행률 및 병동프로그램 참석률에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using Group Art Therapy on Negative Symptoms of Chronic Schizophrenia
Awarded Date
2017
Degree
석사
Citation
조정민. (201706). 집단미술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기강화상담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음성증상에 미치는 효과.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28327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