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에 의한 매개효과 분석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7-06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elf-control, and school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790 first or second grade students in five different high schools located in D city. A group of high-risk users and a group of potential risks were grouped into a risk group for addiction, and a general user group was classified into a non-addiction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comprised of three sets of regression using SPSS 20.0. Results: In the risk group for addiction,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non-addiction group,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m from becoming addicted to smartphone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self-control in a preventive way that can promote the proper use of smartphones. Th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c sampl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방법: 자료수집은 D광역시에 소재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7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은 중독위험군, 일반 사용자군은 비중독군으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결과: 중독위험군 대상자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중독군 대상자에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을 촉진할 수 있는 예방적 차원에서 자기통제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 by Self-control
Awarded Date
2017
Degree
석사
Citation
허영진. (201706).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에 의한 매개효과 분석.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28336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