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 :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지각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7-08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nfirm the degree of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causing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8 women who are not married, are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six and are currently enrolled in a single mother’s associatio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15, 2016 to March 5, 2017. A total of 93 items were used for the research instrument, including 21 depressing items, 16 social support items, 20 health perception items, and 36 parenting stress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post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ean depression of the subjects was 13.95±6.08, the social support mean was 2.63±0.26, the health perception mean was 2.36±0.25, and the parenting stress mean was 2.69±0.2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subject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3.15, p=.003).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r=.31,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variabl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emotional support (r=-.47, p<.001), informative support (r=-.53, p<.001), material support (r=-.50, p<.001), evaluative support (r=-.52, p<.001), parenting stress and health perception negative correlation (r=-.68, p<.001).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were health perception (β=-.57, p<.001), evaluative support (β=-.27, p<.001), informative support (β=-.23, p<.001), emotional support (β=-.20, p=.002), material support (β=-.19, p=.024) and, depression (β=.15, p=.03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6%. In order to alleviate the parenting stress of unmarried moth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consider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f unmarried mothers. Unmarried mothers' subjective assessment of their health can increase or decrease parenting stres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arenting stress intervention focusing on health perception.
본 연구는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작성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혼인 과정 없이 출산하여 6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현재 미혼모자 시설에 입소 중이거나 한국미혼모가족협회에 회원 등록된 여성 1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12월 15일부터 2017년 3월 5일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우울 21문항, 사회적 지지 16문항, 건강지각 20문항, 양육스트레스 36문항으로 총 93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correlation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13.95±6.08점이었고, 사회적 지지 평균은 2.63±0.26점이었으며, 건강지각 평균은 2.36±0.25점, 양육스트레스 평균은 2.69±0.2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검정에서 직업유무(t=-3.15, p=.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은 양의 상관(r=.31, p=.001), 정서적 지지(r=-.47, p<.001), 정보적 지지(r=-.53, p<.001), 물질적 지지(r=-.50, p<.001), 평가적 지지(r=-.52, p<.001)는 음의 상관,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지각은 음의 상관(r=-.68, p<.001)을 보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은 건강지각(β=-.57, p<.001), 평가적 지지(β=-.27, p<.001), 정보적 지지(β=-.23, p<.001), 정서적 지지(β=-.20, p=.002), 물질적 지지(β=-.19, p=.024), 우울(β=.15, p=.032)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6%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미혼모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중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혼모 자신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양육스트레스를 가중시키거나 경감시킬 수 있어 건강지각에 초점을 둔 양육스트레스 중재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Factors Influencing Unmarried mother’s Parenting Stress:Based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erception
Awarded Date
2017
Degree
석사
Citation
오은정. (201708).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 : 우울, 사회적 지지, 건강지각을 중심으로.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28340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