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 주민의 자기효능감, 건강문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분석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박정숙
Alternative Author(s)
Park, Jeong Sook
Journal Title
지역사회간호학회지
ISSN
1225-9594
Issued Date
2007
Keyword
Health PromotionSelf EfficacyHealth ProblemQuality of Life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effects of a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rural residents' self efficacy, health problems and quality of life.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3th, 2006 to July 29th, 2006. The subjects were selected at Gajomyeon, Geochang-gun, Gyeonsangbuk-do, Korea.
Forty three residents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9 in the control group. The 12-week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and ANCOVA test with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than the control group, and a lower score of health problem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rural resident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ir self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nd reducing their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read the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residents in other rural area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주민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
사정연구를 통해 개발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을 농
촌 주민에게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건강문제,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 대
조군 전후설계이고, 자료 수집기간은 2006년 5월 13일
부터 7월 2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실험군
43명, 대조군 39명으로 총 82명이었다. 실험처치는 12
주간의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이었으며, 설문지를 이
용하여 자기효능감, 건강문제,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자
료분석방법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
며,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고, 가설검증
은 ANCOVA 검증,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α로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에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
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자기효
능감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F=18.205, p<.001),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2가설에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건강문제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건강문제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
로 나타났으므로(F=5.547, p=.022), 제2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위 영역에서는 눈․귀(F=13.76, p<.001),
호흡기계(F=4.499, p=.037), 근육․골격계(F=
4.341, p=.040), 피부(F=4.468, p=.038), 피로
(F=6.517, p=.013)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나, 심장․혈관계, 소화기계, 신경계, 비뇨․생
식기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제3가설에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의 점수
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삶의 질
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
타났으므로(F=11.201, p=.001), 제3가설은 지지
되었다. 하위영역에서는 정서상태(F=4.312, p=
.035), 경제생활(F=6.903, p=.010), 자아존중감
(F=17.127, p<.001), 신체상태와 기능(F=8.620,
p=.004), 이웃관계(F=32.698, p<.001), 가족관계
(F=55.03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농촌 주민을 위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
그램은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문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은 농촌 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다른 농촌 지역에 확대, 보급할 수 있는 전략이 강구되
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a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on Self Efficacy, Health Problems and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
Publisher
College of Nursing
Citation
박정숙 et al. (2007).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 주민의 자기효능감, 건강문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4), 523–534.
Type
Article
ISSN
1225-9594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6981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