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한국에서의 포괄적 노인평가 도구의 다기관 연구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김대현배철영
Alternative Author(s)
Kim, Dae HyunBae, Chul Young
Journal Title
가정의학회지
ISSN
1225-4908
Issued Date
2001
Abstract
Background: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is identified as a dynamic process responsive to the changes on health status that occurs over time in the context of extremely increasing trend in the numbers of the elderly people, their office visit, and the medical cost universally. We completed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nd applied it to the Korean elderly through the multi-center trials.

Methods: We performed studies variables using questionnaires, with interviewing, physical examination to the number of total 312 elderly people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r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of the 11 university hospital or general hospital in Korea from July 1, 1999 through October 31, 1999. We, the geriatrician, met and discussed 3 times to complete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through the consensus panel.

Results: We found the sex ratio of 312 subjects was 1 to 2 (104 males and 208 females) and the average age was 73.2 years old. The orders of more frequency of self - reported health status of the respondents were hypertension, arthritis, cataract,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diabetes mellitus, urinary/fecal incontinence, depression, cerebrovascular accident, anemia, and heart disease. Nearly 15% of those showed depression, 41.6% of those were in the status of socially isolation. We found 43.1% of those showed hypertension, 3.7%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and 20.2 % orthostatic hypotension. Of those, cognitive impairment were measured in 37.1%, gait disturbance 13.0%, and the risk of malnutrition 39.6%. Geriatrician spent 21.1 minutes per person during the process o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onclusion: We realized we could diagnose and intervene effectively certain hidden conditions/ diseases, particularly urinary incontinence, falls,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pain, depression, social isola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orthostatic hypotension, with using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These results reflected the fact that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might be necessary for the care of the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2001; 22 : 1383-1393)

Keywords: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care of the elderly, multi-center study
연구배경: 노인 인구,노인 환자, 그리고 노인이 사용하는 의료비용이 급속도로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포괄적 노인평가는 세계적으로 유용한 노인 진료의 한 부분으로 평가되고 있는 바,이를 우리나라의 노인 진료에 적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포괄적 노인평가 도구를 마련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다기관 연구를 시행하 였다.

방법: 1999년 7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우리나라의 11개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의 가정의학과 또는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60세 이상 노인 환자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와 의사의 문진 및 신 체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포괄적 노인평가 도구는 3회에 걸친 노인 진료 의사들의 의견 일치 패널을 거쳐 완성하여 조사에 일관성을 부여하였다.

결과: 총 312명의 노인 환자 중 남자는 104명,여자는 208명으로 남녀의 성비는 1:2이었으며 전체 평균 연령은73.2세였다. 대상자의 자가기입식 질환의 빈도는고혈압,관절염, 백내장, 위장장애,당뇨,소대변 실금, 우울증,중풍, 빈혈,심장병의 순이었다. 우울증은 15.2%이었으며,41.6%에서 사회적 고립 상태를 나타내었다. 고혈압은 43.15,단독 수축기 고혈압은 3.7%,기립성 저혈압은 20.2%이었다. 인지장애는 37.1%에서 보행 장애는 13.0%에서 영양불량의 위험성은 39.6%에서 나타났으며,포괄적 노인 평가를 하는데 소요된 의사의 평균 시간은 21.1분이었다.

결론: 포괄적 노인평가도구를이용하여 노인 진료를시행한 결과노인들에 있어서 숨겨져 있거나 때로 는 발견하기 어려운 요실금, 낙상,시력 장애,청력 장애,통증,두울증,사회적 고립, 인지 장애,기립성 저혈압 등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예방접종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도 어렵지 않게 시 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 환자를 진료함에 있어 다발성 병리가 특징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포괄적 인 평가도구를 이용한 의학적, 정신사회학적 기능 평가가 필수적이며 가능한 모든 노인 환지들에 대해서 포괄적인 노인의학적 평기를 통해 숨져겨 있는 그리고 치료가 가능한 질환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하려 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노인 환자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판단된다. (가정의학회지 2001 ; 22 : 1383

중심단어: 포괄적 노인평가,노인 진료,다기관 연구
Alternative Title
The Multi-center study of the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in the Korean elderly
Department
Dept.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조주연 et al. (2001). 한국에서의 포괄적 노인평가 도구의 다기관 연구. 가정의학회지, 22(9), 1383–1393.
Type
Article
ISSN
1225-4908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27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