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경구 당섭취후 혈장 아밀린농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이인규박근용
Alternative Author(s)
Lee, In KyuPark, Keun Yong
Journal Title
당뇨병
ISSN
1015-6461
Issued Date
1993
Abstract
Background :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increased hepatic glucose production, and impaired insulin secretion are the three characteristic features that underlying the deranged carbohydrate metabolism in type II diabetes. Islet amyloid polypeptide (IAPP, amylin) is a 37-aminoacid peptide that was isolated from pancreatic islet amyloid of type II diabetic and insulinoma patients. Recent interest has focused on the potenital role of amylin in the pathogenesis of type II diabetes.

Method : We determined amylin and C-peptide response in plasma to oral glucose administration in 5 patients with type I diabetes (Group 1), 8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Group 2), and 9 normal controls (Group 3), by specific amylin radioimmunoassay methods. In group I, II, III,ages (mean土SD> were 18士6 years, 43 ±14 years, 39±15 years respectively. BMI (mean土 SD) were 16.8±2그’ 21.5±2.3, 21.2±'3.8 respectively.

Result :

1) Plasma C-peptide level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75 g glucos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and normal control groups than in patients with type I diabetes.

2) Plasma amylin concentration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75 g glucos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and in normal control groups. But plasma amylin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and in normal control group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type I diabetes.

3) There were significant {p< 0.01) correlations {r2—0. 47) between plasma amylin and C-peptide concentr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ylin is cosecreted with insulin and C-peptide in response to a glucose load. Bu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lasma amylin concentrations between type II diabetic and normal control subjects. Therefore,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amylin is a physiological regulator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 human.
Key Words: Insulin resistance, Type II diabetes, Amylin
연구배경 :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조직에서의 인 슐린 저항성, 간에서의 당생성 중가 및 췌장 배타세포의 인술린 분비장애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대사징■애로 알려 져 있으나 정확한 병인온 밝혀져 있지 않다. 최근의 연 구에 의하면 성인형 당뇨병환자의 췌장조직에서 아밀린 침착올 더 혼히 볼 수 있으며, 인슐린 치료를 필요로 하 는 심한형태의 당뇨병에서 더 혼하다고 한다.

방법 : 인술린 의존형 당뇨병환자 5명 (제 1 군), 인슐 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8명(제2군),정상대조군 9명 (제 3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혈장내 아밀린의 농도차 이와 경구당 섭취전후에 아밀린과 시펩티드 분비 사이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성인형 당뇨병환 자군, 약년형 당뇨병환자군, 정상대조군의 평균연령온 각각 18土6세,43±W세,39±15세이었으며 (p<0.05), BMI는각각:16.8±2,1, 21.5±:2.3,21.2士3.8이었다.

쵤파 :

1) 75요의 경구당부하ᅵ검사시 혈장시펩티드 농도, 혈 장 아밀린농도의 비교:혈장내 시펩티드 농도는 정상대 조군과 성인형 당뇨병군에서 약년형 당뇨병군에서 보다 현저히 높았고 60분, 120분치에서는 정상대조군이 성인 형 당뇨병군에서 보다유의하게‘높았다, 그리고 혈장내 아밀린 농도는 정상대조군과 성인형 당뇨병군 사이에서 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약닌형 당뇨병 환자군에 비해서는의미있게 높았다(P<0.05).

2) 기저상태 및 경구 당섭취후.시펩티드 농도와 혈장 아밀린치는 r^O.47로 유의한(p<0.05)■상관관계가 있 었다.

결론:경구당부하검사시 혈장아밀린의 농도변화는 시펩티드 농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이는 췌 장베타세포내에서 아밀린의 분비가 인술린 시펩티드의

분비와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울 시사해 준다. 그러나 인 체내의 혈장 아밀린의 농도는 실험적으로 인습린 저항성 올 유발할 수 있는 아밀린 농도와 비교해서는 훨씬 낮으 므로, 이것이 성인형 당뇨병 환자의 인술린 저항성을 유 발하는 직접적인 인자호 생각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고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oral Glucose Ingestion on Plasma Amylin Concentration in Diabetic and Nondiabetic Humans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인규 et al. (1993). 경구 당섭취후 혈장 아밀린농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당뇨병, 17(3), 259–265.
Type
Article
ISSN
1015-6461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414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