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심한 태아 곤란증 신생아에서 생후 혈중 Cytokine 수치의 의의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김천수이상락김준식권태찬
Alternative Author(s)
Kim, Chun SooLee, Sang LakKim, Joon SikKwon, Tae Chan
Journal Title
대한신생아학회지
ISSN
1226-1513
Issued Date
2004
Abstract
Purpose :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nitial plasma cytokine response and the neurological prognosis in term infants with severe fetal distress.

Methods : Infants with severe fetal distress at birth (n=23) were studied prospectively. Cytokin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rom umbilical cord blood at 3 and 12 hours of life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for interleukin (IL)-1β, IL-6, and IL-18. The study groups were divided into good (n=14) or poor prognostic group (n=9) according to survival and presence of cerebral palsy (CP) later and correlations with afore mentioned cytokine levels were determined.
Results : Cord blood IL-1β and IL-18 concentration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However, infants with poor prognosis had significantly higher median (range) IL-6 concentration than infants with good prognosis at 3 hours [323.6 (32.6-812.8) vs. 38.4 (6.3322.7) pg/mL] (P-0.001), and 12 hours of life [287.1 (16.4-769.1) vs. 66.2 (8.8-757.8) pg/ mL] (P<0.05). Significant higher IL-6 levels greater than 200 pg/mL were observed at 3 hours (P二0.005) and at 12 hours of life (P=0.023) for poor prognosis group.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urologic outcome and plasma IL-6 levels. Higher concentrations of IL-6 (>200 pg/mL) may be a useful indicator of poor neurological outcome in infants with severe fetal distress.
목 적 : 중증 태아곤란증이 있었던 신생아에서 혈중 cytokine 수치와 치료 후 예후와의 관계에 대해서 알 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계명대학 교 동산의료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중증 태아곤란증이 있어서 입원한 만삭아중 치료 후 예후에 따라 별 후 유증이 없이 생존한 양호군과 사망하거나 뇌성마비의 후유증을 보인 불량군으로 나누어, 각군에서 임상양상 (평균 재태기간, 입원시 혈중 pH, 1분 Apgar 점수), 생후 3시간과 12시간의 혈중 cytokines (IL-1β, IL-6, IL-18) 수치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산기 가사 기 준은 태아곤란증(late 혹은 variable deceleration, 태 아 서맥)이 있거나 1분 Apgar 점수가 3점 이하인 경 우로 하였고, 심한 기형이 있거나 초기 패혈증이 있은 경우와 산모가 임상적 융모양막염이 있었던 경우는 제외하였다. 혈중 cytokine 측정은 ELISA kit를 이용 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WIN SPSS 11.0 version을 이용하여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및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P<0.05일때 의미있 다고 하였다.
결 과:총 23례중 양호군이 14례(60.9%), 불량군은 9례(39.1%)였으며, 평균 재태기간과 1분 Apgar점수 및 외부 출생아 빈도, 입원시 혈중 pH 및 HC03 등 은 두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후 3시간과 12시 간의 혈중 cytokine의 중앙값(범위)는 IL-1β와 IL-18 수치는 각각 유사하였으며, IL-6 수치는 각각 양 호군에서 38.4 (6.3-322.7)과 66.2 (8.8-757.8) pg/mL로 불량군 323.6 (32.6-812.8)와 287그 (16.4-769.1) pg/mL로 불량군에서 양호군보다 생후 3시간과 12시 간 모두 의미있게 높았다(P<0.05). 생후 3시간에 IL-6 수치가 200 pg/mL 이상일때 불량군일 경우가 민감 도 81.7%, 특이도 81.3%로 의미있게 많았고(P= 0.005), 생후 12시간에 IL-6 수치가 200 pg/mL 이상 일때 불량군일 경우가 민감도 75%, 특이도 81.3%로 의미있게 많았다(P=0.023).
결 론 :주산기 가사 환아에서 생후 초기의 혈중 IL-6 수치가 치료 후 예후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 각되며, 특히 200 pg/mL 이상일때 예후가 불량한 경 우가 많았고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 리라 생각된다.
Alternative Title
Significance of Cytokine Levels in Neonates with Severe Fetal Distress
Department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최원정 et al. (2004). 심한 태아 곤란증 신생아에서 생후 혈중 Cytokine 수치의 의의. 대한신생아학회지, 11(1), 29–34.
Type
Article
ISSN
1226-1513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81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