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신이식 후 사구체 신염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장기 신 생존율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한승엽박성배김현철
Alternative Author(s)
Han, Seung YeupPark, Sung BaeKim, Hyun Chul
Journal Title
대한신장학회지
ISSN
1225-0015
Issued Date
2005
Abstract
배 경:신이식후사구체신염은만성거부반응과함께장기이식신생존율에중요한영 향을 미쳐 이식 신 소실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아직까지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장기 성적에 관한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방 법:1988년 1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계명의대 동산병원에서 588명의 환자에서 시행된 629 이식 예 가운데 이식 후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된 7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 양 상 및 장기 이식 신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발생률은 11.9%였다.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유형별로는 면역 글로불린 A 신증 환자가 47예 (62.7%)로 가장 많았고,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20 예 (26.7%>, 막성 사구체 신염이 6예 (8.0%), 그리고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당뇨병성 신증 이 각각 1예 (1.3%)의 순이었다.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으로 진단된 환자의 5년 및 10년 이식 신 생존율은 80.5% 및 27.9%이었고, 사구체 신염이 없던 환자의 5년 및 10년 이식 신 생존율 은 74.9% 및 52.3%로, 이식 후 사구체 신염 환자에서 신 이식 후 10년째 이식 신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그러나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의 유형 (면역 글로불린 A 신증, 초점 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막성 사구체 신염)에 따른 이식 신 생존율에는 세 군간의 차이가 없 었다. 한편 신 이식 후 일일 3.5 g 이상의 단백뇨가 있던 군의 5년 및 10년 이식 신 생존율은 62.5% 및 0%이었고, 일일 3.5 g 이하의 단백뇨가 있던 군은 85.3% 및 28.7%로 신이식후 신증후군 범위의 심한 단백뇨가 있는 군에서 이식 신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P<0.01).
결 론: 신 이식 후 사구체 신염이 생긴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이식 후 시간이 경 과함에 따라 장기 이식 신 생존율이 낮았다. 그리고 신이식후 신증후군 범위의 단백뇨는 이식 신 생존율에 관여하는 주요한 위험 인자였다. 향후 신이식후 사구체 신염에 대해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다 기관 공동 연구가 있어야겠다.
Background : Since the introduction of cyclosporine, the short-term renal allograft survival has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the long-term success is still limited by the development of chronic rejection and recurrent disease. Post-transplant glomerulonephritis (post-Tx GN) including recurrent disease is becoming an important cause of graft dysfunction.
Methods : From November 1988 to June 2004, a total of 629 renal transplants involving 588 patients were performed at our medical center.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of post-Tx GN was 11.9% in 629 renal transplant. Among 75 transplants diagnosed as post-Tx GN, IgA nephropathy (62.7%) was the most common histologic diagnosis, followed b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26.7 %),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8.0%),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1.3%) and diabetic nephropathy (1.3%). Documented histologic recurrence occurred in only 24.2% of patients with prior biopsy-proven glomerulonephritis of their native kidneys. The actuarial allograft survival at 5 and 10 years posttransplantation with post-Tx GN was 80.5 % and 27.9%,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graft survival for patients without post-Tx GN was 74.9% and 52.3%, respectively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aft survival according to type of post-Tx GN. The 5 and 10 year graft survival for patients with proteinuria over than 3.5 g/24 hr were 62.5% and 0%,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85.3% and 28.7% for patients with proteinuria less than 3.5 g/24 hr (p<0.01).
Conclusion: In conclusion, post-Tx G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ong-term graft survival and nephrotic range proteinuria is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graft survival. A prospective study with rigorous efforts to make pretransplant diagnosis and standardized criteria for allograft biopsy will more accurately characterize the natural history of post-Tx GN and may provide insight regarding treatment.
Alternative Titl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Outcome of Glomerulonephritis in Renal Allografts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Kidney Institute (신장연구소)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기태 et al. (2005). 신이식 후 사구체 신염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장기 신 생존율. 대한신장학회지, 24(4), 603–610.
Type
Article
ISSN
1225-001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864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3. Research Institutues (연구소) > Kidney Institute (신장연구소)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