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복외 섬유종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이성문이창수손철호이희정김정식김홍
Alternative Author(s)
Lee, Sung MunRhee, Chang SooSohn, Chul HoLee, Hee JungKim, Jung SikKim, Hong
Journal Tit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ISSN
0301-2867
Issued Date
1999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MR findings of extra-abdominal fibromatosis and the role of MRI in primary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 Fifteen cases in of histologically proven extra-abdominal fibromatosis in 13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1-weighted and T2-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in axial, coronal and sagittal planes. Gd-enhancement was performed in 14 cases, and dynamic enhancement studies in two. All lesions were evaluated for mass shape and margin definition.
Results : Among the 15 cases, tumors of the buttock accounted for five, and tumor of the thigh for two. In eight cases tumors were intermuscular and in six cases were intramuscular. In ten cases (67 %) the mass extended along the long axis of the body and in 14 of 15 cases (93%) focal infiltration of adjacent structures was visible. The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 was in all cases inhomogeneous on both T1 and T2 weighted images. As seen on Gd-DTPA enhanced scans, the masses were inhomogeneously enhanced. In all cases MRI revealed star-shaped linear strands or a band-like low signal area in the mass. These features were not enhanced and were arranged along the long axis of the mass.
Conclusion : MR findings of extra-abdominal fibromatosis were relatively characteristic and helpful for primary diagnosis of the condition.
Index words :Soft tissues, fibroma Soft tissues, neoplasms Soft tissues, MR Fibromatosis
목적 : 복외 섬유종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징적인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복외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13명의 환자에서 재발된 2예를 포함한 15예의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였는데 신호강도는 근육조직과 비교하여 육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T1과 T2강조영상 및, 조영증강 상에서 신호강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종괴의 모양 및 주위와의 경계를 살펴보고, 2예에서 조영증강 후 역동적 검사를 시행해 보았다.
결과 : 종괴의 위치는 총 15예중 장딴지부위(buttock)와 대퇴부(thigh)가 각각 6예(재발된 1예 포함), 2예로 빈도가 높았고 근육간(intermuscular)이 8예, 근육 내(intramuscular)에 위치하는 경우가 6예였다(각각 1예의 재발된 경우 포함, 1예는 종격동에서 발생). 종괴의 모양은 10예(67, 재발된 2예 포함)에서 신체의 장축방향과 일치하는 길쭉한 모양을 보였고, 주위와의 경계는 14예(93, 재발된 2예 포함) 에서 최소한 종괴의 일부에서 주위조직으로 침습해 들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영상신호강도는 15예 전 예에서 T1 및 T2 강조영상에서 저 신호강도에서부터 고 신호강도가 섞인 비균질한 양상을 보였고 조영증강 후에도 비균질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특히, 15예 전 예에서 보였던 종괴 내부의 저 신호강도는 종괴의 장축방향과 일치하는 성상(star shape) 혹은 불규칙한 선상(linear)이나 띠 모양 (band shape)을 보였고 조영증강은 되지 않았다.
결론 : 복외 섬유종증은 비교적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가짐으로써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MR Findings of Extraabdominal Fibromatosis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박희진 et al. (1999). 복외 섬유종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1(6), 1189–1194. doi: 10.3348/jkrs.1999.41.6.1189
Type
Article
ISSN
0301-2867
DOI
10.3348/jkrs.1999.41.6.1189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8539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