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유리공기나 경구 조영제 누출이 없는 외상성 소장 천공의 CT 진단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김홍김정식
Alternative Author(s)
Kim, HongKim, Jung Sik
Journal Tit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ISSN
0301-2867
Issued Date
1998
Abstract
Purpose: To determine the most helpful abdominal CT findings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perforation withoutpneumoperitoneum or oral contrast leakage after blunt trau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the abdominal CT findings of 51 patients with small bowel perforation without pneumoperitoneum or oral contrastleakage. A score of 2 was assigned if bowel wall thickening of more than 5 mm or enhancement of the bowel wall wasdefinite, and 1 if equivocal thickening or enhancement of the bowel wall, mesenteric infiltration, sentinelclotting, intermesenteric fluid, or ileu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score, each finding was classified asstrongly positive(5-8), possibly positive(3-4), or probably negative(1-2), and the accuracy of each classificationwas evalvated. We decided which findings would be most helpful when attempting to diagnose small bowelperforation. Results: Forty one bowel perforations and four mesenteric injuries were identified in 45laparatomies among 51 patients. In all 20 patients with a score of more than 5, small bowel perforation was foundon surgery. The prevalence rate of bowel wall thickening and enhance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patients with perforation(88%, 80% respectively) and those without (20%, 40% respectively)(p<0.05). The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 of each criterion were compared (sum of scoring of all CTfindings > or = 3:82.9% 40% 74.5%, scoring of bowel wall thickening and enhancement > or = 2: 82.9% 80% 82.4%), and itwas found that for specificity and accuracy, the latter was superior to the former. ROC analysis using the scoresof each criterion as cut-off value also showed that the curve of the latter showed a more marked upward trend andwas the most helpful parameter. Conclusion: When diagnosing small bowel perforation in the absence ofpneumoperitoneum or oral contrast leakage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bowel wall thickening and enhancement weremore helpful parameters than the sum of all CT findings.
목적 : 복부 외상후 유리공기나 경구 조영제의 누출이 없는 경우 공•회장 천공의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 CT) 소견들 중 가장 진단적 가치가 큰 소견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복부 외상후 실시한 복부 CT상 공•회장 천공이라고 진단한 환자 중 복강 내 유리공기와 경구 조영제의 누출이 없었던 5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CT 소견상 국소성 혹은 미만성 장관벽의 비후가 5mm 이상이거나 조영증강이 확실하면 각각 2점, 의심되면 각각 1점, 기타 장간막 침습, 손상주위 국소 혈괴(sentinel clot), 장간막간 액체 및 장관 확장은 각각 1점으로 채점하여, 총 8점 중 5점 이상은 천공이 강하게 의심되는 경우, 3-4점은 가능성이 많은 경우, 2점 이하는 가능성이 적은 경우로 분류하여 각 점수대의 진단율의 정확도를 수술 및 임상경과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모든 소견을 합했을 때와 장관벽의 비후 및 조영증강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진단율을 비교하여, 어느 기준이 천공의 진단에 더 유용한지 알아보았다.
결과 : 총 51예중 45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소장 천공이 41예(80.4%), 장간막 손상이 4예(7.8%)있었으며, 총 8점 중 5점 이상인 20예는 모두 수술상 천공이 확인 되었다. CT상 장관벽의 비후와 조영증강은 천공이 있었던 군에서는 각각 88%, 81%, 없었던 군에서는 각각 20%, 4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천공의 기준으로 모든 소견을 합한 점수가 3점 이상으로 했을 때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82.9%, 40%, 74.5%이었고, 장관벽의 비후와 조영증강 점수만을 합한 점수가 2점 이상으로 했을 때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82.9%, 80%, 82.4%로 후자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두 기준에 대한 각각의 점수를 cut-off value로 한 ROC curve상 후자의 곡선이 더 위쪽으로 치우쳐 있어 더 좋은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복부 외상후 복강내 유리공기나 경구 조영제의 누출이 없는 공 회장 천공의 진단을 위한 복부 CT에서, 모든 소견을 종합한 평가보다는 장관벽의 비후와 비정상적 조영증강 소견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단순하나 더욱 유용했다.
Alternative Title
CT Diagnosis of Traumatic Small Bowel Perforation without Pneumoperitoneum or Oral Contrast Leak.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진희 et al. (1998). 유리공기나 경구 조영제 누출이 없는 외상성 소장 천공의 CT 진단.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9(4), 757–762.
Type
Article
ISSN
0301-2867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8548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