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일부지역 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박경민김정남
Alternative Author(s)
Park, Kyung MinKim, Chong Nam
Journal Title
대한보건연구
ISSN
1738-3897
Issued Date
199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a college student as the subject of study, are to analyse the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circumstances, recognition about the security in the school and outside the campu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es, managing the stress and practicing the sound health behavior, and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programs which improve the health life quality of students.
A Questionair test was done to K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ttended the school at leas! for a semester over two weeks (1998. 10.26-11.7). The Questionair includes 15 questions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urroundings (6 on classroom, 6 on library and 3 on circumstances in the school), 2 questions on the recognition about security on the campus and outside the school, 4 questions on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thief, violences, sexual violence, traffic accident), 3 questions on participating in student activities(club activities, student's association).
Breslow Index was used to check health practicing behavior. For the management of stress, out of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originally developed by Walk et al, and modified by Seo(1995), 7 items appropriate for student were chosen and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Noe(1988) was used to check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 Next step, I used them to get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circumstances is low, whose average is 2.72 (SD=.54), And the satisfaction average on classroom is 2.36(SD=.55), on library is 2.84 (SD=.67), on circumstance in the school is 2.96 (SD=.54), The recognition about security on the campus is 2.60, higher than 2.23 outside the school. Theft experience is the highest. In the case of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indirect experience rate is higher than the direct one. For health practice behavior, Breslow index 0-3 group accounts for 54.3%, 4-5 group 42.7%, and 6-7 group 3.0%, which means 97.0% practices unhealthy behavior. For the management of stress, total stress managing average is 2.27; average on knowing the origin of stress is 2.92, and average on using the way of solving stress is the lowest 1.64.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recognize the origin of stress but don't know how to deal with it. For the Quality of Life, the average on family relationship is the highest 3.49 and neighborhood relationship, self esteem, emotional conditions, physical conditions and function and economy life in order. When analysing the factors affecting life quality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thod, stress management, sex, satisfaction with the circumstances in the school, taking health class or not, and practicing health behavior account for 21.0%. Accordingly,
1. Developing the organized tool to measure quality of life is needed,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circumstances and welfare into consideration.
2. To establish the sound health practice behavior, there is urgent in need that the opportunity taking health subject should be increased, and health program and stress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and reinforced.
본 연구는 일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환경 만족도, 학교내·외 안전에 대한 인식도, 학생활동참여도, 스트레스 관리, 건전한 건강실천행위 등 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지향적 삶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구시에 소재하는 K대학교의 대학생 중입학 후 한학기 이상 학교생활을 경험한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1998년 10윌 26일부터 11월 7일까지 2주동안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도구로 조사대상 대학의 학교내 환경만족도 15문항(강의실만족도 6문항, 도서실 만족도 6문항, 교내 환경만족도3문항), 교·내외 안전에 대한 인식도 2문항, 교내 및 학교 주변 사고에 대한 직접경험 및 간접경험 4문항(도난사고, 폭력사고, 성폭력사고, 교통사고), 학생활동 참여도 3문항(동아리 활동, 총학생회 활동, 학생회 활동)을 조사하였으며 건강 실천 행위는 Breslow index를 이용하였다. 스트레스 관리는 Walker 등이(1987)이 개발한 건강증진생활양식(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을 서(1995)가 수정보완한 것으로 대학생에게 적합한 스트레스 관리의 7문항을 신정하여 이용했으며, 삶의 질은 노(1988)가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서술통계방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학교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점 2.72(SD=.54)로 낮은 수준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점은 강의실 만족도 2.36(SD=.55), 도서실 만족도 2.84(SD=.67), 교내 환경 만족도 2.96(SD=.54)이었다. 교내·외 안전에 대한 인식도는 교내안전인식도가 2.60으로 학교주변안전인식도 2.23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내 혹은 학교 주변에서 사고를 경험한 비율은 도난사고의 경험율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폭력사고와 성폭력사고도 자신이 경험한 경우보다 타인의 경험을 들었다는 경우가 비율이 높게 나왔다. 건강 실천 행위는 Breslow Index가 0∼3점인 군이 54.3%이며 4∼5인 군이 42.7%이며 6∼7인 군이 3.0%를 차지하여 97.0%가 나쁜 건강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관리의 항목에서 전체적인 스트레스 관리의 평균점은 2.27이며, 하위영역으로 스트레스원이 무엇인가를 아는가는 평균점이 2.92이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특별한 방법(예: 이완요법)을 이용하는가는 평균점이 1.64로 가장 낮았다. 이는 자신들의 스트레스원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으나 올바른 스트레스 관리를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영역별 삶의 질은 가족관계가 평균점3.49로 가장 높았으며 이웃관계, 자아존중감, 정서상태, 신체상태와 기능, 경제생활 순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관리, 성별, 학교내 환경만족도, 보건학 수강유무, 건강실천행위가 삶의 질을 21.0%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1. 대학생의 특성, 환경, 복지에 적합한 구조화된 삶의 질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2. 대학생 올바른 건강실천행위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 교내 보건교과목의 수강기회를 늘리고 건강증진프로그램과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과 강화가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
Publisher
College of Nursing
Citation
류미경 et al. (1999). 일부지역 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대한보건연구, 25(1), 29–42.
Type
Article
ISSN
1738-3897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8645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