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정상임신, 전자간증 및 태아 성장 발육장애 태반에서의 Apoptosis 비교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김종인
Alternative Author(s)
Kim, Jong In
Journal Title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ISSN
0494-4755
Issued Date
2002
Abstract
Objective :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nclusively demonstrate apoptosis in the human placenta and to compare of placental apoptosis in normal pregnancy, preeclampsia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Methods : Placental samples obtained from 30 term, normal pregnancy, 30 pregnancies complicate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30 pregnancies complicated preclampsia. The definition used to identify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depends on fetal body weight ratio less than 10 percentile by ultrasonography. The definition used to identify preeclampsia depend on ACOG criteria. Light microscopy and polyclonal antibodies of Fas, Fas ligand, Bax, Bcl-2 were used to identify apoptosis.
Results : Apoptosis was conclusively demonstrated within placental tissue.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Fas in the trophoblast of normal pregnancy,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ere negative of 86.7%, 26.7% and 13.3% respectively.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Fas lgand in the trophoblast of normal pregnancy,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ere diffuse positive of 53.3%, 16.7% and 6.7% respectively.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Bcl-2 in the trophoblast of normal pregnancy,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ere diffusely positive of 90.0%, 76.7% and 66.7% respectively.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Bax in the trophoblast of normal pregnancy, preeclampsia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ere diffuse positive of 40.0%, 40.0% and 50.0% respectively.
Conclusion : Apoptosis and altered expression of Bcl-2 in trophoblast were conclusively demonstrated within placental tissue, suggesting that it may play a role in the normal development and aging of the placenta. Placental apoptosis and altered expression of Fas and Fas ligand in trophoblast might influence pathogenesis or pathophysiologic mechanism of preeclamsia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서론 및 연구 대상 : 정상임신, 전자간증 및 태아 성장 발육장애의 태반에서 세포고사의 발현과 세포고사의 면역 조절인자인 Fas, Fas 배위자, Bcl-2 및 Bax의 태반 내 발현을 비교하기 위하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교실에 제왕절개 및 유도분만을 위해 내원한 임신부 중에서 각각 30명의 태아 성장 발육장애, 전자간증 및 정상임신부의 태반을 대상으로 면역 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전자간증군과 태아 성장 발육장애군에서 정상임신군에 비하여 Bcl-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전자간증군과 태아 발육 장애군에서 세포고사가 더 많이 발생함을 의미하며, 이들 두 군에서 태반의 세포고사의 빈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세포고사의 빈도 증가는 전자간증과 태아 성장 발육장애의 발병을 유발하는 병적인 과정이거나, 원인의 한 요소로 사료된다. 세포고사를 촉진하는 Bax 단백의 발현은 비슷한 발현 양상을 보였다. Fas 단백의 발현은 전자간증 및 태아발육부전에서 정상임신에 비해 Fas 단백의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6.6% vs 36.7% vs 0%). Fas ligand 단백의 발현은 정상임신에 비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53.3% vs 16.7% vs 6.7%). 또한 Fas ligand 단백의 발현은 Fas 단백에 비해 발현의 강도가 미약하였다.
결론 : 이는 Fas와 Fas 배위자 체계의 변화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며, 전자간증의 병태 생리적 원인 중 태반내의 비정상 항원에 대한 모체 면역 체계의 변화에 기인한다는 학설과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정상임신, 전자간증 및 태아 성장 발육장애 태반에서의 세포고사 조절인자인 Fas 배위자, Fas, Bcl-2 및 Bax의 태반 내 발현을 비교한 결과, 전자간증군과 자궁내 태아 성장 발육장애군에서의 세포고사가 더 많이 발생하며, 이들 두 군에서 태반의 세포고사의 빈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세포고사의 빈도증가는 전자간증과 태아 성장 발육장애의 발병을 유발하는 병적인 과정이거나, 원인의 한 요소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Placental Apoptosis in Normal Pregnancy, Preeclampsia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Department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산부인과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김종인 et al. (2002). 정상임신, 전자간증 및 태아 성장 발육장애 태반에서의 Apoptosis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45(6), 951–959.
Type
Article
ISSN
0494-475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8881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산부인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