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기능성 소화불량환자에서 체감각, 뇌간청각 및 시각 유발전위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한승엽강영우임정근
Alternative Author(s)
Han, Seung YeupKang, Young WooLim, Jeong Geun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ISSN
1598-9992
Issued Date
1997
Abstract
Background/Aims: Although gastrointestinal dysmotility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epsia, visceral perception abnormalities due to visceral hypersensitivity are now thought to be a major pathophysiologic mechanism of functional dyspepsia. Visceral hypersensitivity occurred at both visceral afferent pathway and autonomic regulation of central system.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le role of abnormal central perception in the 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epsia by using various evoked potential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2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22 healthy volunteers attending Keimyu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5 to December 1995. They were studie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SEP),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s(BAEP) and visual evoked potentials(VEP) and compared the absolute latencies, interpeak latencies and amplitudes of each evoked potential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lute latencies of EP, N13, N19 and P22 waves and amplitudes of EP, N13 and N19/P22 at SSEP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and normal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lute latencies of I, II, III, IV and V waves, and interpeak latencies of I-III, III-V and I-V at BAEP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and normal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lute latencies and amplitudes of P100 at VEP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and normal control.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could not reveal abnormal central perception by using somatosensory, auditory and visual evok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목적: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소화관 운동장애가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나 최근 내장과민성(visceral hypersensitivity)에 의한 내장 지각 이상(visceral perception abnormality)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는 크게 말초 내장신경에서 척수를 통한 말초 구심성 신경계와 중추신경계 차원에서의 자율 조절이 관여한다.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내장의 풍선확장 등을 이용한 말초신경게 차원에서의 연구는 여러 보고에서 발표되고 있으나 중추신경계의 여러 자극에 대한 지각 이상을 연구한 보고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여 중추신경계의 지각이상 유무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기능성 소화불량환자 22예(남자 4예, 여자 18예, 평균연령 46.8세, 연령 분포 32세~66세)와 정상대조군 22예(남자 4예, 여자 18예, 평균연령 47.2세, 연령분포 35~61세)를 대상으로 체감각, 뇌간청각 및 시각 유발전위를 검사하고, 각 유발전위의 절대잠복기, 파간잠복기와 진폭을 비교하였다. 결과: 정중신경체감각 유발전위검사에서 EP, N13, N19 및 P22 각 파의 절대잠복기와 EP, N13 및 N19/P22 각파의 진폭은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뇌간청각 유발전위검사에서 I, II, III, IV 그리고 V파의 절대잠복기 및 I-III, III-V 그리고 I-V의 파간잠복기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 유발전위검사에서 P100의 절대잠복기와 진폭 역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소화관 내 풍선확장을 통한 내장 말초신경계의 지각 이상 연구와는 달리 중추신경계의 지각 이상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에서 각 유발전위검사상 특이소견은 나타나지 않았다.
Alternative Title
Somatosensory, Brainstem Auditory and Visual Evok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한승엽 et al. (1997). 기능성 소화불량환자에서 체감각, 뇌간청각 및 시각 유발전위.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9(6), 707–716.
Type
Article
ISSN
1598-9992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041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