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의 Sodium Nitroprusside 치료에 대한 반응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이상락김천수권태찬
Alternative Author(s)
Lee, Sang LakKim, Chun SooKwon, Tae Chan
Journal Title
대한주산의학회잡지
ISSN
1229-2605
Issued Date
1999
Keyword
Sodium nitroprusside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
Abstract
목적 :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PPHN) 환아의 sodium nitroprusside(SNP) 치료에 대한 반응 양상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만 3년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출생후 인공환기 치료에도 저산소증이 지속되어 심에코 검사상 PPHN으로 진단되었던 환아들중 SNP 투여를 받았던 11례중 심한 기형(Edward 증후군)으로 생후 2일에 사망한 1례를 제외한 10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임상소견, 검사소견, SNP치료에 대한 반응(산소화 지수 ; OI로 구함). 치료의 부작용 등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한 ANOVA test로 하여 p<0.05를 의미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 :
1) 환아 분포는 조산아 4명, 만삭아 6명 이었고, 남녀 빈도는 5:5였으며. 모두 원외 출생아 이었으며, 제왕 절개 출생아가 6명으로 더 많았다. 동반 질환은 태변흡입 증후군을 포함한 폐렴이 5명, 태아 곤란증을 포함한 주산기 가사, 호흡곤란 증후군 등이 각각 3명으로 많았고, 1분과 5분 평균 Apgar 점수는 치료 비반응군(자의 퇴원 및 사망아)에서 반응군(생존아)보다 비교적 낮았다.
2) 입원시 모든 환아에서 저산소증, 산혈증, 빈호흡이 있었고, 심에코 검사상 삼첨판 폐쇄부전과 동맥관 개존은 모든 예에서, 심방중격 결손중이 5례, 승모판 폐쇄부전이 4례에서 있었다.
3) SNP를 투여 받은 10명중 8명(80%, 반응군)에서 호전되었고. 비반응군 2명중 1명은 사망하였으며, 1명은 자의퇴원 하였다.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SNP 치료전 동맥혈 평균 pH, PCO₂. PO₂는 유사하였고, SNP 투여시작은 생후 24시간내에 투여한 9명중 8례서 호전되었으며, 생후 39시간에 투여한 1명은 호전이 없었다. 평균 최고 투여속도와 투여기간은 비반응군에서 높고 길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4) SNP 투여직전 평균 OI는 반응군 55.2, 비반응군 57.9로 유사하였고, 반응군에서는 투여 12시간후 28.6, 24시간후 21.2, 36시간후 16.1, 48시간후 14.5, 60시간후 11.2, 72시간후 8.2로 투여 12시간후 부터 투여전보다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으며(p<0.005), 비반응군에서는 감소가 별로 없었다.
5) 투여후 합병증은 일시적 저혈압이 2㎍/㎏/min 이상 고용량 사용한 환아중 3례에서 있었으나 승압제 투여와 SNP투여량 감소로 모두 호전되었고, 3례에서 폐출혈이 있었으며 이들중 2례는 증상이 경하여 약물 투여후 곧 호전 되었고 1례는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어 후에 동맥관 개존의 수술적 결찰로 호전되었다. 그외 괴사성 장염, 혈소판 감소증(<15만/㎣),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등이 각각 1례에서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 환아 치료에서 sodium nitroprusside(SNP)는 일차적 치료로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response of sodium nitroprusside(SNP) in the treatment of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PPHN).
Methods : Among neonates with PPHN who were admitted at the NICU of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Dongsan Medical Center, Keimyung University between June 1996 and May 1999, 10 cases were treated with SNP. The diagnosis of PPHN was made by echocardiography, and SNP was administered by continuous infusion via peripheral or central vein, and the initial dose was 0.5㎍/㎏/min. The rate of infusion was subsequently titrated, by repeatedly increasing the rate of infusion, until a desired or adverse effect was observed, the maximal rate of SNP infusion did not exceed 5㎍/㎏/min. Serial vital signs, arterial blood gases, platelet counts, and oxygenation index(OI)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NP infusion periodically. Statistical analyses were assessed by ANOVA test using SAS package. Significance was assumed at p<0.05.
Results : All the patients were outborn. And fullterm, c-section delivery neonates were more common. Common associated diseases were pneumonia(including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50%), perinatal asphyxia(30%)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30%). And 8 cases(80%) were improved(responsive group), 2 cases were not improved(nonresponsive group). Between both groups, there were not no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1- & 5-min Apgar score, arterial pH, PO₂ and PCO₂, maximal infusion rate and duration of SNP. Mean baseline OIs were 55.2 in responsive group and 57.9 in nonresponsive group. After SNP therapy, OI of the former was reduced significantly(p<0.005), but OI of the latter didn'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NP therapy, transient hypotension was developed in 3 cases, and pulmonary hemorrhage in three, and one case with necrotizing enterocolitis, thrombocytopenia, or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was noted.
Conclusion : It was concluded that SNP can be used as a non-aggressive and low-cost primary treatment for the patient with PPHN.
Alternative Title
The Response of Sodium Nitroprusside in the Trearment of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Department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상락 et al. (1999).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의 Sodium Nitroprusside 치료에 대한 반응. 대한주산의학회잡지, 10(3), 331–337.
Type
Article
ISSN
1229-2605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598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