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난소의 고형 종양과 자궁의 장막하 평활근종의 전산화단층촬영소견 :감별점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손철호
Alternative Author(s)
Sohn, Chul Ho
Journal Title
대한방사선의학회지
ISSN
0301-2867
Issued Date
1999
Abstract
Purpose : On the basis of CT findings, to differentiate between solid ovarian tumor and uterine subserosal myoma.
Materials and Methods : In eight surgically proven cases of solid ovarian tumor and in ten uterine subserosal myoma patients, contrast-enhanced CT images were obtained. Two genitourinary radiologists reviewed the findings with regard to degree of enhancement of the mass as compared with enhancement of uterine myometrium, thickening of round ligaments, visualization of normal ovaries, contour of the mass, and the presence of ascites in the pelvic cavity.
Results : Six of eight ovarian tumors but only two of ten uterine myomas were less enhanced than normal uterine myometrium (p <0.05). Pelvic ascites were seen in six of eight ovarian tumors, but in only one of ten uterine myomas (P<0.05). Three of 16 ovaries in ovarian tumor patients, but 12 of 20 ovaries in uterine myoma patients, were normal (p<0.05). Six of 16 round ligaments of the uterus in ovarian tumor patients, were thichened but 11 of 20 round ligaments in uterine myoma patients, were thickened (p>0.05). The contour of the mass was lobulated in two of eight ovarian tumor patients, but in five of ten uterine myoma patients (p>0.05).
Conclusion : CT findings suggestive of solid ovarian tumor were less contrast enhancement of the mass than of normal uterine myometrium, pelvic ascites, and nonvisualization of normal ovary.
Index words :Ovary, CT Ovary, neoplasms Uterus, CT Uterus, neoplasms
목적 : 난소의 고형 종양과 자궁의 장막하평활근종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의 감별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되었고, 수술 전에 조영증강 C T를 시행했던 난소의 고형 종양 중 낭종이 전혀 없는 환자 8명과 자궁 장막하 평활근종 환자 1 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명의 비뇨생식기계 방사선과 의사가 C T상 자궁근의 조영증강에 대한 종괴의 상대적인 조영증강정도, 자궁원인대의 두꺼워진 정도, 정상 난소가 보이는 빈도, 종괴 외연의 모양, 복수의 발생 빈도를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 자궁근의 조영증강정도에 대한 종괴의 조영증강정도에서 낮은 조영증강을 보인 빈도는 난소종양군에서 6예(75%), 자궁근종군에서 2예( 2 0 % )였으며(p<0.05), 복수가 보이는 경우는 난소종양군에서 6예(75%), 자궁근종군에서는 1예(10%) 이었고(p<0.05), 정상난소가 보이는 빈도는 난소종양군 좌우 1 6개중 3개(18.8%), 자궁근종군 좌우 2 0개중 1 2개( 6 0 % )였다(p<0.05). 자궁원인대가 두꺼워진 경우는 난소종양군에서 좌우 1 6개중 6개(37.5%), 자궁근종군 좌우 2 0개중 1 1개( 5 5 % )였으며(p>0.05), 종괴의 외연이 엽상형으로 보인 경우는 난소종양군에서 2예(25%), 자궁근종군에서 5예( 5 0 % )이었다(p>0.05).
결론 : C T에서 난소의 고형 종양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소량 이상의 복수를 동반하고, 자궁근에 비하여 조영증강 정도가 떨어지고, 정상 난소가 보이지 않았다. 이 소견들은 난소의 고형 종양과 자궁 장막하 평활근종의 감별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CT Differentiation of Solid Ovarian Tumor and Uterine Subserosal Leiomyoma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김경래 et al. (1999). 난소의 고형 종양과 자궁의 장막하 평활근종의 전산화단층촬영소견 :감별점을 중심으로.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0(6), 1187–1191. doi: 10.3348/jkrs.1999.40.6.1187
Type
Article
ISSN
0301-2867
DOI
10.3348/jkrs.1999.40.6.1187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0192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