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19-0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The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a self-administered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mong 333 nurses working in 2 general hospital (over 500 beds),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ly 2, 2018 to July 20.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ʼ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5.0 program.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resilience was indicated to be 3.38 on a 5-point scale. The area of the highest resilience was positive tendency, and the lowest area of the resilience was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 the job embeddedness making score was 3.05 on a 5-point scale. The area of the highest job embeddedness was fit and the lowest area of the job embeddedness was sacrifice. Third, turnover intention was indicated to be 3.13 on a 5-point scale. turnover intention meaningful differences were dependent on sex, age, position, marital status, clinical experience, clinical experience in current hospital, department experience, work department, and experience of turnov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ilience (r=-.28, p<.001) and job embeddedness (r=-.53, p<.001)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lso,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r=.29, p<.001) with job embeddedness. Fifth, as are result of perform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urnover intention,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sacrifice (β=-.39), fit (β=-.29), positive tendency (β=-.15), link (β=.12),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11), followed by experience of turnover. (β=-.09). The amount of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was indicated to be 42% (F=35.66, p<.001).In conclusion,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have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resilience,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re required for the enhancement of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종합병원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 에 소재한 500병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2일부터 7월 20일까지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회복탄력성,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 관련된 설문지를 제공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3.38점이며, 하위 요인 중 긍정성이 가장 높고 자기조절능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배태성은 평균 3.05점으로 하위 요인 중 적합성이 가장 높았고 희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이직의도는 평균 3.13점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성별, 연령, 직위,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현 부서경력, 근무부서, 이직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이직의도는 회복탄력성(r=-.28, p<.001)과 직무배태성(r=-.5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은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r=.46, p<.001)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희생(β=-.39)이었으며, 적합성(β=-.29), 긍정성(β=-.15), 연계(β=.12), 대인관계(β=.11), 이직경험(β=-.09)순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35.66,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2%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을 증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차원에서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Influence of Resilience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Awarded Date
2019-02
Degree
석사
Citation
고경자. (201902).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1664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