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 : -Max van Manen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20-0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ssential structures and indications in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maintenance among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with the resocialization and recovery of these people.

This study was based on van Manen's interpre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1 participants with mental health disorder who had been employment maintenance for 6 months or longer and had not stopped work for more than 2 weeks. from March 11 to August 30, 2019.

The average time for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as held more than twice, each lasting between 60 to 120 minutes. The main question for the in-depth interview was "how is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retention among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 The transcribed data was analyzed through van Manen's (1990) phases of turning to the phenomenon of interest,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as we live it, hermeneutic phenomenology reflection, hermeneutic phenomenology writing.

As a result, 13 themes and 5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according to van Manen's (1990) four lifeworld existentials of lived time, lived body, lived space, and lived relations. As essential themes for the lived time for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retention among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 "hope grows in the dark" and "the stopped time is moving" were derived. For the lived body, "awakened the entire body" was identified, and for the lived space, "finding my position." Finally, for the lived relations, "being together with the people in the world" was derived.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maintenance among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 was a process of acquiring employment, a channel that enables connecting with the world, thinking abou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of the people with illness, controlling the symptoms which are also part of oneself, and finding and showing one's own position and existence in the world, leading to recovery and growth.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useful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maintenance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 and facilitating employment that can help with the successful resocialization and recovery of these people.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의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여 직업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사회 복귀와 회복을 도울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과 심층면담에 의한 연구로서 2019년 3월 11일부터 2019년 8월 30일까지 2주일 이상 일을 중단한적 없이 6개월 이상 직업을 유지한 정신장애인 1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심층 면담은 2회 이상, 1회 면담 시간은 최소 60분에서 최대 120분 정도 소요되었다. 심층 면담에 사용된 주 질문은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은 어떠한가?'이었다. 필사된 자료는 van Manen (1990)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체험의 본질로 돌아가기, 실존적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의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van Manen (1990)이 제시한 네 가지 실존체인 체험된 시간, 체험된 신체, 체험된 공간, 체험된 관계에 따라 13개의 주제와 5개의 본질적 주제로 도출되었다.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은 체험된 신체에 대한 본질적 주제로 '온몸으로 깨우치다'였고, 체험된 시간에 대한 본질적 주제로 '어둠 속에서 희망이 자라다'와 '멈춘 시간이 움직이다'가 도출되었다. 체험된 공간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나의 자리를 찾다'이며 마지막으로 체험된 관계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세상 속 사람들과 함께하다'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은 정신장애인의 특성과 동기를 통해 세상과 연결되는 통로인 직업을 획득하고, 자신의 일부분인 증상을 조절하면서 세상 속에서 자신의 자리와 존재를 드러내는 회복과 성장을 하는 과정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에 대한 이해와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성공적인 사회 복귀를 도울 수 있는 직업유지를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Alternative Title
Experience of employment maintenance among people with mental health disorder focused on Max van Manen's interpretive phenomenology
Awarded Date
2020-08
Degree
박사
Citation
김영미. (202008).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 경험 : -Max van Manen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3383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