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부인암 환자의 일차치료 후 경과 기간별 미충족 요구와 성 디스트레스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21-0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unmet needs and sexual distress by period after primary treatment, 6 months, 12 months, 18 months, and 24 months after the primary treatment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The study design was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2020 to December 2020.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2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aged 20 to 60 years old who visited K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for outpatient treatment in gynecology. The research tool used the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in Cancer [CNAT] tool to measure unmet needs, and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tool to measure sexual distres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one-way ANOVA, ANCOVA, Scheffe' test, and Bonferroni method using SPSS WIN 26.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nmet needs of the subjects averaged 46.15±37.23 out of 186 points, with information and education having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1.02±0.77 out of 3 points, followed by the medical staff (doctors and nurses) area of 0.98±0.95 points and psychological problem areas were in the order of 0.83±0.76 poin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ve groups in the difference in unmet needs by elapsed period (F=3.59, p=.007), and the score of unmet needs after 6 months was the highest. Third, the difference in unmet needs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as determined by religion (F=4.60, p=.011), stage (F=7.23, p=.001), and treatment method (F=8.31,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urrence (F=3.19, p=.00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subject's sexual distress score was found to be 14.17±13.48 on average out of 8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sexual distress by elapsed period (F=2.55, p=.040), and the relapsed group sexu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F=1.99, p=.048). In conclus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nmet needs and sexual distress according to the elapsed period within 2 years after primary treatment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unmet needs and sexual distress after 6 months were high.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such as provision of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elapsed period after treatment, will be necessary.
본 연구는 부인암 환자의 일차치료 직후, 6개월 후, 12개월 후, 18개월 후, 24개월 후 경과 기간별 미충족 요구와 성 디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횡단적 비교조사연구로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4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이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K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외래진료를 위해 내원한 만 20세 이상 만 60세 이하의 부인암 환자로 총 212명 이었다. 연구도구는 미충족 요구를 측정하기 위하여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Tool in Cancer [CNAT] 도구를 사용하였고, 성 디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one-way ANOVA, ANCOVA, Scheffe' test, Bonferron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미충족 요구는 186점 만점에서 평균 46.15±37.23점으로 하부영역 중 정보 및 교육이 평균 평점 3점 만점에 1.02±0.77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 영역이 0.98±0.95점, 심리적 문제 영역이 0.83±0.76점 순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경과 기간별 미충족 요구의 차이는 5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3.59, p=.007), 특히 6개월 후의 미충족 요구 점수가 가장 높았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미충족 요구의 차이는 종교(F=4.60, p=.011)와 병기(F=7.23, p=.001), 치료방법(F=8.31, p=.001), 재발유무(F=3.19, p=.002)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대상자의 성 디스트레스 점수는 80점 만점에 평균 14.17±13.48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경과 기간별 성 디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2.55, p=.040), 특히 6개월 후 그룹의 성 디스트레스 점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재발된 그룹의 성 디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F=1.99, p=.048). 결론적으로, 부인암 환자의 일차치료 후 2년 이내의 경과 기간에 따라 미충족 요구와 성 디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6개월 후 시점의 미충족 요구와 성 디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차치료 후 경과기간에 적합한 교육자료 제공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Unmet needs and sexual distress by period after primary treatment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Awarded Date
2021-08
Degree
석사
Citation
배연희. (202108). 부인암 환자의 일차치료 후 경과 기간별 미충족 요구와 성 디스트레스.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3916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