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일부 60-64세 농촌 인구에서 사회조직망과 고혈압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이충원이미영서석권
Alternative Author(s)
Lee, Choong WonLee, Mi YoungSuh, Suk Kwon
Journal Title
한국농촌의학회지
ISSN
1225-634X
Issued Date
1998
Keyword
social networkhypertension
Abstract
Face-to-fac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hypertension in 958 rural residents(males=440, females=518) aged 60-64 of a community-dwelling sample of Dalsung County from April to September in 1996. Eight elements of social network were measured : marital status, regular religious attendance, membership in groups, number of friends, relatives, siblings, children, grandchildren. Hypertensives were defined as meeting at least one of following criteria : hypertension history, systolic blood pressure more than 160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more than 95 mmHg. In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for males, having 1-4 friends vs. none showed odds ratio 0.43 (95% Confidence interval CI 0.19-0.96) and having 2-3, 4 and more than 5 children had reduced prevalence of hypertension with odds ratios 0.21 (95% CI 0.06-0.72), 0.14 (95% CI 0.04-0.49), 0.24 (95% CI 0.07-0.82),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persons without children. In females, there was no elements of social network statistically significant. Having 5-9 grandchildren vs. none showed a marginally significant odds ratio 0.42.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for males with adjustment for age, education, body mass index, smoking and drinking, number of friends and children showed increased odds ratios and number of close relatives gain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odds ratios (0.44-0.50). In females, the adjustment yielded little changes of odds ratios except number of grandchildren which gain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ly a certain elements of social network may b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hypertension and they may be different between genders in rural resident aged 60-64.
농촌의 전통적인 사회조직망을 반영해주는 변수들과 고혈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달성군 60-64세 노인을 대상으로 1996년 4월부터 9월까지 일대일 면담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조직망을 반영해주는 변수로 결혼, 규칙적인 종교행사 참석, 친한 친구 및 친척 수, 구성원으로 있는 모임 수, 자식 및 손주 수 그리고 형제 수 등이 선정되었다. 고혈압은 고혈압력을 가진 자, 수축기 혈압이 10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5 mmHg 이상의 기준 중 최소한 하나의 기준을 만족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대상자는 총 958명으로 남자 440명, 여자 518명이었다. 남자의 당일지수 분석에서 친구가 없는 자에 비해 1-4명 가진 자가 0.43배 (95% 신뢰구간 0.19-0.96) 더 고혈압일 확률이 더 낮았으며, 자식이 0-1명인 자에 비해 2-3명, 4명, 5명 이상에 따라 비차비가 각각 0.21 (95% 신뢰구간 0.06-0.72), 0.14 (95% 신뢰구간 0.04-0.49), 0.24(95% 신뢰구간 0.07-0.82)로 고혈압일 확률이 더 낮았다. 반면에 여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회조직망 구성 변수는 없었으며 손주가 없는 자에 비해 5-9명 가진 자의 비차비가 0.42 (95% 신뢰구간 0.17-1.02)로 경계성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연령, 교육수준, 비만도, 흡연 및 음주를 다중지수회귀분석으로 통제를 한 후 비차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남자에서 단일변수 분석에서처럼 친구 수와 자식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차비를 나타내었으며 단일연수 분석의 결과에 비해 상관의 강도가 더 높아졌다. 특히 친척 수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획득하였으며 친척이 없는 자에 비해 가진 자는 0.44-0.50의 비차비를 나타내었다. 여자에서 대체로 단일변수 분석에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손주 수는 없는 자에 비해 5-9명을 가진 자의 비차비자 0.42에서 0.37 (95% 신뢰구간 0.14-0.95)로 상관성이 더 높아졌으며 통계적인 유의성 역시 경계선에서 유의성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조직망 중 일부 특정한 구성요소가 고혈압과 관련이 있으며 남녀간에 관련 구성 요소가 서로 차이가 남을 시사한다.
Alternative Title
Social Networks and hypertension in Some rural residents Aged 60-64
Department
Dept. of Preventive Medicine (예방의학)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의과학연구소)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이충원 et al. (1998). 일부 60-64세 농촌 인구에서 사회조직망과 고혈압. 한국농촌의학회지, 23(2), 229–242.
Type
Article
ISSN
1225-634X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7040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reventive Medicine (예방의학)
3. Research Institutues (연구소) > Institute for Medical Science (의과학연구소)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