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임상적 분류의 제안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이희정김여향황진복
Alternative Author(s)
Kim, Yeo HyangHwang, Jin BokLee, Hee Jung
Journal Titl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ISSN
1229-0114
Issued Date
2006
Abstract
Purpose: We proposed a new classification of pediatric intussusception based o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Methods: Data from 88 consecutive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 were reviewe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six factors; patient age, sites of intussusception, symptoms, therapeutic methods, existence of enlarged mesenteric lymph nodes, and ultrasonographic (US) findings from clinical records.
Results: 1) There was one neonatal case (1.1%), the others (98.9%) were infants and children. 2) These 87 infant and child cases consisted of 14 cases (16.1%) of small bowel intussusception (SBI) and 73 cases (83.9%) of ileo-colic intussusception (ICI). Of the 14 SBI cases, 12 cases were symptomatic and 2 cases were asymptomatic. The symptomatic group comprised 8 transient cases (66.7%), 3 operative cases (25.0%), and 1 enema-reduction case (8.3%). Two asymptomatic cases were incidentally captured by computed tomography. Of the 73 ICI cases, 19 cases (26.0%) required operation, and 54 (74.0%) enema-reduction. 3) When transient SBI cases were compared with operated SBI cases, enema-reduced and operated ICI cases, the age (38.0±22.9 months) of transient SBI c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p=0.003). Mean mass size (20.8±2.7 mm) in transient SBI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the others (p=0.0001). 4)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xistence of enlarged mesenteric lymph nodes and therapeutic method or concomitant illness. 5) Most of the target types observed by US were in transient SBI cases, the remainder were in the enema-reduced ICI cases. In terms of the doughnuts type, all 8 cases (34.8%) with an external hypoechoic rim thickness of >8.9mm were treated surgically.
Conclusion: Pediatric intussusception may be classified based o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which are likely to indicate appropriate therapies.
목 적: 임상적, 방사선과적인 소견을 근거로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분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진단된 88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류를 위해 환자의 나이, 장중첩증의 위치, 증상의 유무, 치료 방법,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의 유무, 초음파 소견 이상의 6가지 요소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1) 장중첩증의 발병 연령에 따라 신생아형 1예(1.1%)와 소아형 87예(98.9%)로 나눌 수 있었다. 2) 소아형은 발생 위치에 따라 소장형 14예(16.1%)와 소장-대장형 73예(83.9%)로 분류되었다. 소장형은 증상이 있는 군 12예와 증상이 없는 군 2예로, 증상이 있는 군은 일과성 장중첩증 8예(66.7%), 수술군 3예(25.0%), 관장 정복 1예(8.3%)였으며, 무증상 군은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우연히 관찰된 2예였다. 소장-대장형은 수술군 19예(26.0%)와 비수
술군 54예(74.0%)로 분류되었다. 3)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 8예를 수술을 받은 소장형 6예, 정복된 소장-대장형 54예, 수술을 받은 소장-대장형 19예와 비교 분석한 결과,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연령은 38.0±22.9개월로 다른 형태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고(p=0.003), 혈변은 전체 8예 중 1예(12.5%)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22), 기면은 모든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단순 복부 엑스선 사진상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에서 복부 종물(p=0.015)과 기계적 장 폐쇄증(p=0.001)은 상대적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며, 초음파상에서 종물의 크기는 일과성 소장형에서 20.8±2.7 mm로 의미 있게 작은 크기를 보였다(p=0.0001). 4) 비후된 장간막 림프절 유무와 치료 방법 및 동반 질환과의 관련성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초음파상 과녁 모양인 경우 11예 중 7예(63.6%)가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정복이 가능하였으며 4예 중 3예는 소장-대장형이었으나, 1예는 회장-회장-대장형이었다. 도넛 모양인 23예 중 저에코성 외곽 테두리의 두께가 8.9 mm 이상인 8예(34.8%) 모두에서 수술을 요하였고, 8.5 mm 미만인 15예(65.2%) 모두는 정복이 가능하였다.
결 론: 소아 장중첩증은 영상학적인 소견과 임상적 특성에 따라 새롭게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lternative Title
A Suggested New Clinical Classification for Pediatric Intussusception
Department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Citation
박문호 et al. (2006). 소아 장중첩증의 새로운 임상적 분류의 제안.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9(1), 39–47.
Type
Article
ISSN
1229-0114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39274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학)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