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남자간호사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 대처유형, 자아존중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세보기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21-0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le nurses'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coping strategies for sexual harassment, and self-esteem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rvey was conducted of 175 male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in 10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in metropolitan D. This study used a set of questionnaire that measured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coping strategies for sexual harassment,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the male nurses'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scored 3.69 out of 5 points, indirect coping strategies scored 1.90 (4 points), direct coping strategies scored 2.45 (4 points), self-esteem scored 3.25 (4 point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d 2.77 (5 points).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t=-4.58, p<.001), religion (t=-2.43, p=.015), shift pattern (t=-2.61, p=.010), and marital state (t=2.18, p=.031).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t=-2.19, p=.030) and work experience (t=-2.26, p=.025).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rect strategies (r=.43, p<.001), while self-esteem and indirect coping strategi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18, p=.018).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irect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17, p=.023). Moreover, indirect strategies (t=3.09, p=.002) and age (t=1.78, p=.049)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6.7% (F=3.068,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and direc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male nurses. The entire organization, more than the individual nurses, should endeavor to create a work environment that can boost the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nurses.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 대처유형, 자아존중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100병상 이상의 10개 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남자간호사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성희롱에 대한 인식, 대처유형, 자아존중감, 조직몰입 측정도구를 이용한 설문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피어슨상관관계, 다중회귀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남자간호사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9점이었고, 간접대처는 4점 만점에 평균 1.90점, 직접대처는 평균 2.45점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평균 3.25점 이었고, 조직몰입은 5점 만점에 평균 2.77점이었다. 자아존중감은 성희롱 경험(t=-4.58, p<.001), 종교(t=-2.43, p=.015), 근무형태(t=-2.61, p=.010), 결혼상태(t=2.18, p=.03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나이(t=-2.19, p=.030)와 근무경력(t=-2.26, p=.025)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희롱에 대한 인식은 직접대처(r=.43,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였고, 자아존중감과 간접대처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8, p=.018)였다. 조직몰입은 간접대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7, p=.023)였다. 남자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접대처(t=3.09, p=.002)와 나이(t=1.78, p=.049)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7%이었다(F=3.068,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자간호사의 특성을 고려한 성희롱 예방교육과 직접대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남자간호사의 낮은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근무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간호사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Male Nurses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warded Date
2021-02
Degree
석사
Citation
박민수. (202102). 남자간호사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 대처유형, 자아존중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세보기.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3418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