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급성기 전기경련치료를 통한 주요우울장애의 우울증상 심각도 변화와 관련된 임상적 요인

Metadata Downloads
Affiliated Author(s)
이호준정성원김양태김희철
Alternative Author(s)
Lee, Ho JunJung, Sung WonKim, Yang TaeKim, Hee Chul
Journal Title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ISSN
1225-9454
Issued Date
2022
Keyword
전기경련치료주요우울장애우울증불안회귀분석Electroconvulsive therapyMajor depressive disorderDepressionAnxietyRegression analysis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depression severity in index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80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sorder who received index ECT. The severity of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17 (HDRS-17).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depression severity and the predictors of the 50% or greater reduction rate of HDRS-17.

Results:
55 (68.8%) patients were HDRS-17 score change ≥ 50% group, and 25 (31.2%) patients were HDRS-17 score change < 50% group. HDRS-17 score change ≥ 50% group had a shorter episode duration before ECT (11.91±8.63 vs 17.68±11.15 weeks, p=0.027) and more ECT sessions (8.60±2.91 vs 6.80±3.34 sessions, p=0.017). The higher baseline score of anxiety (B=0.937, β=0.374, p<0.001), depression (B=0.846, β=0,324, p=0.001), and somatic symptom (B=0.995, β=0.210, p=0.031) dimensions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HDRS-17 score from baseline. The longer episode duration until the start of ECT was associated with lower likelihood of HDRS-17 score change ≥ 50% (Wald χ2=7.74, OR=1.08, 95% CI: 1.02-1.14, p=0.005). The greater number of ECT sessions predicted the HDRS-17 score change ≥ 50% (Wald χ2=7.85, OR=0.75, 95% CI=0.62-0.92, p=0.005)

Conclusions:
In higher baseline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severity, implementing sufficient sessions of ECT in pharmacological treatment phase of relatively shorter duration of major depressive episode may help reduce HDRS-17 score.
목적:
본 연구는 주요우울장애 환자에 대한 급성기 전기경련치료에서 우울증상 심각도의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급성기 전기경련치료를 시행한 주요우울장애 환자 80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해밀턴 우울척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치료 전과 비교하여 우울증상 심각도의 변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50% 이상의 해밀턴 우울척도 변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 변화량이 50% 이상인 군은 55명(68.8%),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 변화량이 50% 미만인 군은 25명(31.2%)였다.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 변화량이 50% 이상인 군은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 변화량이 50% 미만인 군과 비교하여 급성기 전기경련치료 전까지의 주요우울삽화 지속기간이 유의하게 짧았고(11.91±8.63 vs 17.68±11.15주, p=0.027), 전기경련치료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다(8.60±2.91 vs 6.80±3.34회, p=0.017). 치료 전과 비교하여 해밀턴 우울척도 총점과 세부 4요인(우울감, 불안, 불면, 신체증상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치료 전후의 해밀턴 우울척도 총점 변화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기경련치료 전의 불안, 우울감, 신체증상군 요인의 점수였다(불안 요인의 B=0.937, β=0.374, p<0.001, 우울감 요인의 B=0.846, β=0,324, p=0.001, 신체증상 요인의 B=0.995, β=0.210, p=0.031). ECT 전 주요우울삽화의 지속기간이 길수록 50% 이상의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의 감소 가능성이 낮았으며(Wald χ2=7.74, OR=1.08, 95% CI: 1.02-1.14, p=0.005), 전기경련치료 시행 횟수가 많을수록 50% 이상의 해밀턴 우울척도 점수 감소 가능성이 높았다(Wald χ2=7.85, OR=0.75, 95% CI=0.62-0.92, p=0.005).

결론:
기저 불안, 우울, 신체증상의 심각도가 높을 때, 약물치료가 진행되고 있는 상대적으로 짧은 지속기간의 주요우울삽화에 대한 충분한 횟수의 전기경련치료가 해밀턴 우울 척도 점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Alternative Title
Clinical Factors Related to Change of Depression Sever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Through Index Electroconvulsive Therapy
Department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Publisher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Type
Article
ISSN
1225-9454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4488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건강의학)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Forever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