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의 인식 유형 :코오리엔테이션 모델 적용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22-02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types of preceptors and newly enployed nurses for the role of precepto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ption types.
Methods: As a research design, the preception type for the preceptor role was identified using Q methodology, and a coorientat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ption typ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eceptor’s perceptions of the preceptor role was a practical adaptation-oriented role model, a passive practical educator, an active professional role model, and a practical educator seeking perfection.
2. The newly emplyoed nurse's perceptions of the preceptor role was a practical adaptation-oriented role models, a skeptical practical educator, mechanical practical educators, and a practical educator seeking perfection.
3. The agreement or the perception between the preceptor and newly employed nurse for the preceptor’s role was high. A practical adaptation-oriented role models and a practical educator seeking perfection were common types, while the preceptor was a passive practical educators and an active professional role model, and newly employed nurses was a skeptical practical educator, an inactive practical educator.
4. The agreement I between the preceptor's perception and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estimated by the preceptor was moderate. The practical adaptation-oriedted role model was a common type. The precptor’s perception was a role model and practical educator type, and the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estimated by the preceptor was an authoritative and imperious role.
5. The agreement II between the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and the preceptor’s perception estimated by newly employed nurse was high. A skeptical practical educator and a practical educator seeking perfection were common types. The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were a practical adaptation-oriented role mode and an inactive practical educator. The preceptor’s perception estimated by the newly employed nurse were a passive prefessional role model and a supportive professional role model.
6. The accuracy between the preceptor’s perception and the preceptor’s perception estimated by newly employed nurse was the higest. Only the type of practical educator seeking perfection was a common type. The other types were also indicated as the preceptor’s type that strives to become practical education and role models.
7. The accuracy between the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and the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estimated by preceptor was moderate. The practical adaptation-oriented role model was a common type. The newly employed nurse’s perception was skeptical and inactive, and the preceptor’s estimated perception was authoritative and imperious.

In conclusion: In the perception of the role, the preceptor’s role, the preceptor is preception as a role helps a newly employed nurse to understand the inexperience and adapt the practive with respect. The newly employed nurses know that preceptor are making efforts to adapt with the responsibility to the education: hover, they preceive the role of preceptors as skeptical and inactive.

Therefore, although precpetors and newly emplyoed nurese’ preceptions of the preceptor role were similar,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receptors to improve their cultivating qualities and qualification as educators. In addition, to prevent negative of the preceptor’s role, a system should be provided so that preceptors can focus on training new emplyoed nurese by developing enviromental and compensatory support systems.
본 연구는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의 인식 유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리셉터의 역할에 대한 두 집단간 인식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로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인식 유형은 Q-방법론을 이용하여 규명한 후 인식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코오리엔테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프리셉터의 인식 유형은 실무적응 지향적 역할모델, 소극적인 실무교육자, 적극적인 전문직 역할모델, 완벽추구적인 실무교육자로 나타났다.
2.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신규간호사의 인식 유형은 실무적응 지향적 역할모델, 냉소적인 실무교육자, 기계적인 실무교육자, 완벽추구적인 실무교육자로 나타났다.
3.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프리셉터의 인식과 신규간호사 인식의 객관적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응 지향적 역할모델과 완벽추구적인 실무교육자가 공통적인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프리셉터는 소극적인 실무교육자, 적극적인 전문직 역할모델로 신규간호사는 냉소적인 실무교육자, 기계적인 실무교육자로 나타났다.
4.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프리셉터의 인식과 프리셉터가 추정하는 신규간호사 인식의 주관적 일치도Ⅰ은 일치도가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실무적응 지향적 역할모델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프리셉터의 인식 유형은 역할모델이나 실무교육자 유형으로 신규간호사의 인식 유형은 권위적이며 고압적인 역할에 대한 인식 유형으로 나타났다.
5. 신규간호사의 인식과 신규간호사가 추정하는 프리셉터의 인식의 주관적 일치도Ⅱ에서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냉소적인 실무교육자와 완벽추구적인 역할모델 유형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신규간호사 인식은 실무적응 지향적 역할모델과 기계적인 실무교육자로, 신규간호사 추정 프리셉터 인식은 소극적인 전문직 역할모델, 지지적인 전문직 역할모델 유형으로 나타났다.
6. 프리셉터의 인식과 신규간호사가 추정하는 프리셉터의 인식의 정확도에서 대인간 관계분석 중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추구적인 실무교육자 유형만 공통적인 유형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유형들도 실무교육과 역할모델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프리셉터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7. 신규간호사의 인식과 프리셉터가 추정하는 신규간호사 인식의 정확도에서 일치도는 중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응 지향적 역할모델 유형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신규간호사의 인식은 냉소적이며 기계적인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프리셉터가 추정하는 인식에서는 보다 권위적이며 고압적인 유형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인식에 있어 프리셉터는 신규간호사의 미숙함을 이해하고 존중을 바탕으로 실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신규간호사 또한 프리셉터가 신규간호사의 교육에 책임감을 가지고 신규간호사의 적응을 위해 노력하는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프리셉터는 업무부담감과 지지시스템 부재로 인해 교육 시 신규간호사에게 냉소적이며 기계적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리셉터에게 교육자로서의 자질함양과 교육효과 상승을 위해 체계적인 프리셉터의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환경적 및 보상적 지지체계의 개발로 신규간호사의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신규간호사에게 프리셉터 역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역할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Types of Perceptions of Preceptors and New Nurses about the Role of Preceptors: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Awarded Date
2022-02
Degree
박사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4622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