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 사회적지지가 임종치료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Issued Date
2023-08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the end-of-life care preferences in elderly residents of nursing ho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55 elderly individuals who stayed at long-term care(LTC) hospitals in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 9, 2023, to Mar. 9, 2023.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ath anxiety, social support, and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in elderly residents of LTC hospitals were 3.15±0.43, 3.19±0.45, and 3.11±0.3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by monthly income(F=3.63, p=.029), cohabitation status before admission (t=2.87, p=.005), current duration of stay in the LTC hospitals(F=6.84, p=.001), and previous experience of intensive care unit(ICU) admission(t=3.24, p=.002), perceived health status(F=4.26, p=.016), activities of daily living(F=3.16, p=.045), and severity of illness(F=4.81, p=.00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ath anxiety and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r=0.32, p<.001) also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r=0.30,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were shown as death anxiety(β=.23, p=.002), social support(β=.22, p=.003), previous experience of ICU admission(β=.18, p=.022), and severity of illness(β=.16, p=.033), with a model's explanatory power of 22.4%.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education program aimed at reducing death anxiety and enhancing social support is required to influence the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among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Since nursing home residents greatly rely on social support and derive comfort from it, efforts should be made to actively promo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visitation. Targeting patients with ICU admissions and those who frequently experience hospitalizations or surgeries due to severe illnesses is crucial to establish the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expressed. Consequently, ongoing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methods that enable elderly LTC residents to suggest the appropriate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based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 사회적지지가 임종치료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요양병원 2개 곳에서 입원중인 노인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1월 9일부터 3월 9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과 사회적지지 및 임종치료선호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죽음불안 3.15±0.43점, 사회적지지 3.19±0.45점, 임종치료선호도 3.11±0.30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치료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요양병원 관련특성에서는 월평균소득(F=3.63, p=.029), 입원 전 동거여부(t=2.87, p=.005), 현 요양병원 입원기간(F=6.84, p=.001), 중환자실 입원 경험(t=3.24, p=.002)에 차이가 있었다.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건강 상태 지각(F=4.26, p=.016)과 일상생활능력(F=3.16, p=.045) 및 질병 중증도(F=4.81, p=.003)는 임종치료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노인의 죽음불안과 사회적지지 및 임종치료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죽음불안과 사회적지지(r=0.14, p=.090)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죽음불안과 임종치료선호도(r=0.32,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와 임종치료선호도(r=0.30,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임종치료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죽음불안(β=.23, p=.002), 사회적지지(β=.22, p=.003), 중환자실 입원경험(β=.18, p=.022) 및 질병중증도(β=.16, p=.033)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2.4%이다. 그 중 죽음불안이 임종치료선호도에 가장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요양병원 노인의 임종치료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죽음불안감소하고 사회적지지를 높여 주는 간호중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노인은 사회적지지에서 큰 도움을 받고 의지를 하기 때문에 면회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중환자실 입원경험이 임종치료선호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중환자실 입원 경험이 있거나 질병중증도가 높은 노인은 죽음에 대해 고민하고 임종치료선호도를 명확하게 밝힐 수 있으므로 중환자실 재원 환자와 중증질환으로 자주 병원입원이나 수술을 경험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임종치료선호도를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한다. 요양병원 노인의 임종치료선호도를 개인의 특성에 맞게 잘 선택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The impact of death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in elderly residents of Long-Term Care Hospitals
Awarded Date
2023-08
Degree
석사
Type
Thesis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45147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