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초기 치매노인의 간호요구와 영향요인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박은실
Issued Date
2013-06
Abstract
In South Korea, the elderly diagnosed with dementia are significantly increasing in line with an aging population. This, in turn, has lead to increasing numbers of elderly patients being admitted to nursing homes for 24 hours nursing ca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iscover the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The present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nursing needs of and factors influencing the elderly diagnosed with early stage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152 elderly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arly stage dementia over 1 month, stay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D city and K province and scored from 18 to 23 on MMS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23 to April 10, 2013.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IBM 20.0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met needs and unmet needs were 8.65 and 1.47 respectively. For unmet needs, mobility was the highest at 29.6% and daytime activities, intimate relationships,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continence were 28.3%, 21.1%, 19.1% and 11.8% respectively.
2.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participants were 65.40 on average, 5.30 for depression and 10.11 for anxiety.
3. Unmet needs were slightly related to ADL(r=-.41, p<.001), depression(r=.19, p=.017) and anxiety(r=.28, p=.001).
4. The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DL and anxiety showing 22% statistically.
In conclusion, unmet needs such as mobility, daytime activities, intimate relationships,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continence should be the utmost priorities of the health care provider in relation to the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in long term facilities. In addition, ADL and anxie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nursing needs of these subjects. Therefore, formul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towards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improve ADL and reduce the anxiety of the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in long term facilities is highly recommended.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치매환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치매 노인은 24시간 보호와 관리가 필요하게 되어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 치매노인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초기 치매노인의 간호요구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D광역시와 K도에 위치한 11개의 노인요양병원에서 1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MMSE-K 점수가 18점에서 23점 사이에 해당되는 초기 치매노인이며 자료수집은 2013년 3월 23일부터 4월 10일까지 실시되었다. 측정도구는 간호요구,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불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IBM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요구는 간호요구가 있는 항목의 평균은 총 18점 중 8.65점이고 그 중 간호요구가 미충족 항목의 평균은 1.47점으로 조사되었다. 간호요구가 필요하지만 미충족된 요구 항목에서 기동성/낙상 29.6%, 주간활동 28.3%, 친밀한 관계 21.1%, 정신적 고통 19.1%, 요실금/변실금 11.8% 이었다.
2.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0-100점까지의 기준에서 평균 65.40점, 우울은 0-15점까지의 기준에서 평균 5.30점, 불안은 0-54점까지의 기준에서 평균 10.11점이었다.
3. 미충족 간호요구와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상관관계(r=-.41, p<.001), 우울과의 관계(r=.19, p=.017), 불안과의 관계(r=.28, p=.001) 모두 유의하게 조사되었고 약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4.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초기치매노인의 간호요구의 예측요인은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불안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22%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 볼 때,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불안은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초기 치매노인의 간호요구와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미충족 간호요구를 줄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줄이는 간호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Nursing Need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Elderly with Early Stage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warded Date
2013-08
Degree
석사
Citation
박은실. (201306).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초기 치매노인의 간호요구와 영향요인.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28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57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