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권상민
Issued Date
2012-0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s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February 26, 2012, to April 26, 2012. The subjects were 28 resi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selected at A nursing home, D city, in Korea and 27 residents for the control group, who were selected at B nursing hom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and Cronbach's ⍺ with SPSS/Win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64.26, p=<.001). In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responsibility (F=16.92, p=<.001), physical activity (F=20.57, p=<.001), nutrition (F=45.34,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F=28.86, p=<.001), self-actualization (F=23.41, p=<.001), and stress management (F=23.41, p=<.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level of physical fitnes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In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ft grip (F=39.76, p=<.001), right grip (F=38.06, p=<.001), balance (F=3.98, p=.050), TUG (F=18.60, p=<.001), oral status (F=26.75, p=<.001), and BMI (F=4.36, p=.042).
3.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score for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In subsca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F=18.79, p=<.001), but not in cognitive function (dementia score).
4.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degree of social ac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7.91, p=.007).
5. The fif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higher score for objective health statu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In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BP (F=14.56, p=<.001), diastolic BP (F=5.65, p=.021), glucose (F=7.11, p=.010),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10.75, p=.002).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 physical fitness, oral status, BMI, depression, degree of social activity, blood pressure, glucos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strategy development that can sprea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frail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is needed.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허약노인들의 장애 상태로의 이행을 예방하고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2년 2월 26일부터 4월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 실험군은 A양로원 28명, 대조군 B양로원 27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사전 동질성 검증은 -test와 independent t-test, 가설검증은 ANCOVA,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F=64.26, p=<.001),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하위 영역에서는 건강책임(F=16.92, p=<.001), 신체활동(F=20.57, p=<.001), 영양(F=45.34, p=<.001), 대인관계(F=28.86, p=<.001), 자아실현(F=23.41, p=<.001), 스트레스관리(F=19.8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제 2가설: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적 기능상태가 증진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 왼손 악력(F=39.76, p=<.001), 오른손 악력(F=38.06, p=<.001), 정적 균형(F=3.98, p=.050), 복합적 이동능력(F=18.60, p=<.001), 구강상태(F=26.75, p=<.001), BMI(F=4.36, p=.042)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인지․정서적 기능상태가 증진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인지기능(치매점수)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F=3.46, p=.068), 우울점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8.79, p=<.001). 따라서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4) 제 4가설: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회활동 정도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7.91, p=.007). 따라서 가설 4는 지지되었다.
5) 제 5가설: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건강상태가 증진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수축기 혈압(F=14.56, p=<.001), 이완기 혈압(F=5.65, p=.021), 혈당(F=7.11, p=.010)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점수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0.75, p=.002). 따라서 제5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체력, 구강상태, BMI, 우울, 사회활동, 혈압, 혈당, 주관적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적용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허약노인들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며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이라 사료되며, 시설에 거주하는 더 많은 허약노인들에게 확대,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Residents
Awarded Date
2012-08
Degree
박사
Citation
권상민. (201206). 허약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100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0988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박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