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천식환자의 자가관리와 삶의 질

Metadata Downloads
Author(s)
홍영미
Issued Date
2009-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patients with asthma.
Data were collected 136 adult patients treated with inhaler for more than one month. The setting was a general hospital and medical clinic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im Bu Nam`s(1999) self-management instrument and quality of life instrument developed by The Korean Society of Allergology(2000).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s:
1) General self-management was average score of 3.72±0.46. In the fifth sub-category, communication with health care professional showed the highest level(4.09±0.50) and asthma symptom control showed the lowest level(3.01±0.38).
2) General self-management according to general,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arital status, having a partner, economic status, family history of asthma and experience of inhaler education.
3) The quality of life score was 3.50±0.74. In the category of environmental domain showed the highest level(3.60±0.83) and symptom domain showed the lowest level(3.39±0.74).
4)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ge, level of education, presence of job, economic status, duration of diseas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presence of the associated disease, type of symptom severity and having a family history of asthma.
5) Relationship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r=.171, p=.047). In other words, when self-management increases, quality of life also increases. Furth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category and quality of life.
In summary, self-management i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symptom control. The quality of life may depend on self-management. Hence, the importa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symptom distress and it is needed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천식환자의 자가관리와 삶의 질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광역시 단위 일개 종합병원과 내과의원, 시단위 내과의원에서 천식을 진단받고 흡입기 치료를 1개월 이상 사용 중인 환자 13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자가관리 측정도구는 김부남(1999)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 측정도구는 천식 및 알레르기 학회(2000)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가관리는 평균평점 3.72±0.46점으로 나타났으며 5개의 하위 영역에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영역이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4.09±0.50점) 증상 조절 영역은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01±0.38점).
2) 대상자의 일반적,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관리는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 유무, 경제수준, 천식 가족력 유무, 흡입기사용 교육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삶의 질은 평균평점 3.50±0.74점으로 나타났으며 하부 영역에서 환경영향 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3.60±0.83점), 증상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3.39±0.74점).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 최종학력, 직업 유무, 경제수준, 병력기간, 입원경험 유무, 동반질환 유무, 증상 중증도, 가족력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자가관리와 삶의 질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171, p=.047), 자가관리를 잘 할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자가관리의 가족지지 하위 영역에서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40, p=.005).
이상의 결과로 천식증상 조절에는 자가관리가 중요하며 그들의 삶의 질은 자가관리에 달려있다. 따라서 증상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중요하며 자가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Alternative Title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Adult Asthmatic patients
Awarded Date
2010-02
Degree
석사
Citation
홍영미. (200912). 천식환자의 자가관리와 삶의 질.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736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043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