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부의 모유수유 및 신생아 수유능력에 관한 지식 정도
- Author(s)
- 이지영
- Issued Date
- 2009-06
- Abstract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ssess pregnant women's knowledge regarding breastfeeding(BF) and newborn feeding 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260 subjects receiving prenatal care in K university hospital or a local cultural center in Daegu.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BF Knowledge developed by Kim Sung-Hee (2001) and Creedy et al's (2008) of newborns' feeding ability(NF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PC(Version 1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BF knowledge was 20.50 out of 32. The score of 'advantages of breast milk' was the highest. The followings were 'breast-feeding methods and matters of attention', 'anatomy and physiology for breast-feeding' and 'valuation basis of breast-feeding' in orde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F knowledge according to subjects' BF experience (t=4.38, p=0.037), information received regarding BF (t=14.96, p=0.000) and their intention for BF (t=8.17, p=0.005).
3. The average score of newborns' feeding ability was 4.59 out of 6 total. The score of 'effects of skin contacts with mothers on newborns' physiological stability' was the highest. The followings were 'newborns' innate ability,' 'effective checking methods for breast-feeding', 'effects of skin contacts with mothers' and 'postnatal management' in order.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newborns' feeding ability according to subjects' employment status (t=-2.74, p=0.007), information received regarding NFA (t=2.58, p=0.010), intention for BF (t=3.07, p=0.002).
본 연구는 임신부를 대상으로 모유수유와 신생아 수유능력에 관한 지식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K대학 부속 병원과 지역 문화센터의 임신부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3월 5일부터 2009년 4월 9일까지이다.
연구도구로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은 김성희(2001)가 개발한 도구를, 신생아 수유능력에 대한 지식은 Creedy 등(200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5.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점수는 32점 만점에 평균 20.50점 이었다. 영역별로 보면 ‘모유의 장점’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모유수유 방법 및 수유시 유의 사항’, ‘모유수유 관련 해부생리’, ‘모유수유 평가 기준’ 순이었다.
2. 대상자의 특성별 모유수유 지식 정도는 모유수유 경험 유무(t=4.38, p=0.037), 모유수유에 대한 정보 유무(t=14.96, p=0.000), 모유수유 계획 유무(t=8.17, p=0.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신생아 수유능력에 대한 지식 점수는 각 문항당 6점 만점에 전체 문항 평균 4.66점 이었다. 영역별로 보면 ‘산모와의 피부접촉이 신생아의 생리적 안정에 주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신생아의 본능적인 능력’, ‘효과적인 수유 확인 방법’, ‘산모와의 피부접촉 효과’, ‘분만 후 상황 관리’ 순이었다.
4. 대상자의 특성별 신생아 수유능력에 대한 지식 정도는 직업(t=-2.74, p=0.007), 신생아 수유능력에 대한 정보 유무(t=2.58, p=0.010), 모유수유 계획 유무(t=3.07, p=0.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모유수유와 신생아 수유능력에 관한 정보의 유무, 직업, 모유수유 계획과 경험의 유무가 대상자의 지식 정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