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욕기간에 따른 산욕기 산모의 피로, 양육스트레스 및 수면양상
- Author(s)
- 이자영
- Issued Date
- 2006-12
- Abstract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women's perception of fatigue, parenting stress and sleep pattern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ostpartum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period of postpartum. This study utilized the cross 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3 to September 22, 2006. The subjects were 188 of women within 24 weeks after childbirth who visited on G hospital(women clinic and well-baby clinic) in Daegu, Korea.
The self re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30 items on postpartum fatigue developed by Pugh(1993), 32 items on parenting stress by Koh(1995) and Park(1994), and 3 items on sleep pattern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 SD, t-test, ANOVA, χ²-test, Pearson's correlation with SPSS 12.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mean age was 30.16 years and 86.2% of women had a university degree or higher and 46.3% were housewives. In the obstetric characteristics, 73.9% were delivered vaginally, 86.2% desired for their baby, 72.3% were primiparaes, and mean weight of new born baby was 3.24kg. Mean sleeping hours were 6.44, 70.8% get poor quality of sleep, 65.9% didn't get enough quantity of sleep.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otal fatigue(F=3.159, p=0.009), physical fatigue(F=4.322, p=0.001), quality of sleep(χ²=18.667, p=0.002) and quantity(χ²= 11.130, p=0.049) of sleep according to the periods of postpartum. Sorting out the subjects' fatigue level per a month during 24 weeks, 17-20 weeks postpartum had the highest value with a mean of 2.50.
3. Degree of fatigue was also compared with the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me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omen's state of health(t=2.178, p=0.031), husband's help(F=3.195, p=0.043).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s(F=3.091, p=0.048). Sleep pattern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sband's help(p=0.004, p=0.015, p=0.000).
4.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fatigue and sleep patterns.
Therefore variabl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to alleviate the fatigue, parenting stress and sleep patterns according to the postpartum period.
본 연구는 산욕기간에 따라 산모가 자각하는 피로, 양육스트레스 및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소를 확인하여 산욕기간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7월 3일부터 9월 22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대구시 소재의 G병원의 외래에 내원한 출산 후 24주 이내의 산욕기 산모 1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서, 피로에 관한 30문항(Pugh, 1993),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32문항(고효정, 1995; 박해미, 1994), 수면양상 측정을 위해 평균수면시간, 수면의 질, 수면의 양의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가보고법을 통해 자료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test와 ANOVA, χ²-test,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평균 연령은 30.16세, 대졸 이상이 86.2%이고 가정주부가 46.3%였다. 산과적 특성으로는 질식분만이 73.9%이었고, 원한 임신이 86.2%, 초산모가 72.3%, 신생아의 체중은 평균 3.24kg이었다. 대상자의 수면양상은 평균수면시간이 6.44시간, 수면의 질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가 70.8%, 수면의 양이 부족하다는 경우가 65.9%이었다.
2. 산욕기간에 따른 피로는 전체 피로(F=3.159, p=0.009)와 신체적 피로(F=4.322,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산욕기간에 따라 수면의 질(χ²=18.667, p=0.002), 수면의 양(χ²= 11.130, p=0.049)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피로점수를 살펴보면, 산후 17-20주 산모의 피로가 2.50점으로 가장 높았고, 1-4주째가 평균 2.33점, 13-16주째 평균 2.20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피로 영역에서 산후 17-20주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산과적 특성에 따른 피로는 산모의 건강문제 유무(t=2.178, p=0.031), 남편의 협조정도(F=3.195, p=0.04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에서는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091, p=0.048). 산과적 특성에 따른 수면양상은 아기의 성별에 따라 수면의 질(χ²=4.744, p=0.029)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남편의 협조정도에 따라 평균수면시간(F=5.663, p=0.004)과 수면의 질(χ²=8.383, p=0.015), 수면의 양(χ² =21.517, p=0.000)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피로와 수면양상과의 관계에서 평균수면시간(r=-0.190, p=0.009), 수면의 질(r=-0.192, p=0.008), 수면의 양(r=-0.250, p=0.001)은 피로정도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산모의 피로, 양육스트레스, 수면양상은 산욕기간에 따라 다르므로 산욕기의 전 기간 동안 산모의 피로, 양육스트레스, 수면양상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산욕기간에 따라 차별화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