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의학도서관 Repository

급성 뇌경색에서 혈관내 치료 후 발생한 혈뇌장벽 파괴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정지현
Issued Date
2013-06
Abstract
초급성기 허혈성 뇌졸중에서 혈관내시술 후 혈뇌장벽 투과성 증가는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뇌경색으로 혈관내 시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24시간 전후에 나타나는 혈뇌장벽 투과성 증가의 발생빈도, 관련인자 및 임상적 예후에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급성 뇌경색 환자 중에서 혈관내 시술을 시행한 군 17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내원 당시, 혈관내 시술후 1일째, 7일째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NIHSS) 점수와 3개월째 수정랭킨지수를 확인하였다. 혈관내 시술 전과 시술 후 1일째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 혈뇌장벽 파괴는 액체감약반전회복(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영상에서 대뇌고랑 혹은 뇌실의 뇌척수액 공간에서 고강도의 신호를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좋은 예후는 3개월째 수정랭킨지수로 0-2로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연속변수에 대해서는 t-test 또는 Mann-Whitney U 검정을, 비연속 변수에 대해서는 Fisher’s exact 검정을 시행하였다. 173명 중 22명(12.7%)에서 혈뇌장벽 파괴가 보였다. 남자가 89명(51.4%), 평균 나이는 66.5세 였다. 혈뇌장벽 파괴군이 유의성 있게 나이가 젊고, 담배를 피우지 않았고, 당뇨를 가진 빈도가 높았다(p < 0.05). 예후가 좋은군은 낮은 초기혈당, 낮은 초기 NIHSS 점수, 동맥내 혈소판 당당백질 IIb/IIIa 억제제 사용, 재관류, 7일째 출혈성 변화 존재와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그러나 혈뇌장벽 투과성 증가와 예후의 연관성은 없었다.
In hyperacute ischemic stroke, blood-brain barrier (BBB) disruption is a common phenomenon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related factors and clinical prognosis of BBB disruption assessed in 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performed within 24 hours of post-procedure in patients treated for acute ischemic stroke with endovascular treatment. Data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from 173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treated by endovasuscular treatment between January 2005 and August 2012.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recordings were collected at baseline, the next day and 7 days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Modified Rankin scale scoring was assessing at 3 months. BBB disruption was identified as positive when the intensity of the cerebro-spinal fluid (CSF) in the sulci or ventricles appeared hyperintense. Statistical analyses were made using X2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Stu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BBB disruption was found in 22 of 173 patients (12.7%). The mean age was 66.5. BBB disrup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age, non-smoker and diabetes mellitus (p<0.05). Good clinical outcomes were associated with lower initial glucose levels, lower baseline NIHSS scores, injection of intra-arterial glycoprotein IIb/IIIa, good recanalization, and the existence of hemorrhagic transformation at 7 days (p<0.05).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prognosis and BBB disruption.
Alternative Title
Blood Brain Barrier Disruption after Endovascular Treatment in Acute Ischemic Stroke
Awarded Date
2013-08
Degree
석사
Citation
정지현. (201306). 급성 뇌경색에서 혈관내 치료 후 발생한 혈뇌장벽 파괴.
Type
Thesis
Source
http://dcollection.km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93
URI
https://kumel.medlib.dsmc.or.kr/handle/2015.oak/11462
Appears in Collections:
1.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 > 석사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 관련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