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모델에서 최소긴장선과 부위에 따른 상처수축의 특성
- Author(s)
- 곽민호
- Issued Date
- 2011-12
- Abstract
- 상처수축은 상처 주위 전 층의 피부가 구심성으로 이동해 상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이다. 저자들은 Micropig을 실험동물로 이용하여 상처가 위치와 최소긴장선에 따라 어떻게 수축이 일어나는지 알아보았다.
7-9개월 수령의 피부 질환이 없는 4마리의 Micropig(Medikinetics, Pyeongtaek, Korea)을 이용하였다. 무게는 25 kg으로 실험이 끝날 때까지 변함이 없었다. 먼저 최소긴장선을 파악한 다음 척추주위의 등에 경부부터 둔부까지 근막층 위의 조직을 모두 절제하여 동일한 면적(9 cm2)으로 정사각형과 원모양의 전 층 피부결손 상처를 만들었다. 상처는 등의 좌, 우측에 5 cm 간격으로 각각 6개씩 한 마리당 모두 12개의 상처를 만들고 위치와 최소긴장선에 따라 5군으로 나누었다. 술 후 이틀마다 상처 크기를 Visitrak Digital(Smith & Nephew, Hull, UK)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상처수축률을 구하여 수축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술 후 4, 8, 11, 14, 20, 28일에 생검 후 H&E 염색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염증세포침윤, 상피화유무, 근섬유모세포를 비교 관찰하였다.
상처수축률은 10-12일에 최대를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다. 10일부터 상처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상피화가 진행되었다. 최소긴장선은 위치별로 1군에서는 척추에 사선, 3군에서는 척추에 수직, 5군에서는 척추에 평행인 모양이었다. 2군과 4군에서는 서로 수직인 사선모양의 최소긴장선 두 개가 공존하고 있었다. 상처수축은 최소긴장선에 평행한 모양으로 일어났고 최종수축률은 위치별로 1군이 91.65, 2군이 84.44, 3군이 79.08, 4군이 62.94, 5군이 70.22%로 머리부위가 꼬리부위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처수축은 최소긴장선에 평행한 모양으로 일어나며 머리 부위가 꼬리 부위보다 더 많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ound contraction is defined as the decrease in the size of an open wound as a result of the centripetal movement of the surrounding sk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und contraction rates at different anatomical regions and the wound contraction shapes at different relaxed skin tension line (RSTL) on Micropigs. Four female Micropigs were used in this study. On the backs of the pigs, six pairs of whole thickness skin excisions, nine cm2 in area, were made down to the fascia. The twelve wounds were split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RSTL and the anatomical regions. The wound sizes were measured every other day and wound contraction rates of different anatomical regions were calculated. Biops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epithelializtation, myofibroblast. The cephalic area, represented in two groups, had an oblique RSTL, the center area, represented in one group had a transverse RSTL, and the caudal area represented in two groups had a vertical RSTL. The directions of wound contractions were along the RSTL. The wounds in the cephalic area contracted more than those in the caudal area.
- 공개 및 라이선스
-
- 파일 목록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